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思惟의 房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에 잠기는 시간
Time to lose Yourself
deep in wandering thought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國寶 83 號)
半跏의 姿勢로 한 손을 뺨에 대고
깊은 생각에 잠긴 佛像.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國寶 78 號)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原來 이 像은 부처가 太子였을 때 人生의 無想함을 느끼고 出家하여, 衆生救濟라는 큰 뜻을 품고 苦惱하는 태자사유상(太子思惟像)에서 由來한 것이다. 印度에서는 3 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彫刻에 나타나며, 佛座像의 양협 시상에서 점차 單獨像으로 發展한 것으로 보인다. 中國의 경우는 5세기 候班 윈강[雲岡] 石窟에서 이미 나타나지만 6세기 候班 北齊時代에 가장 盛行했으며, 銘文을 通해 주로 太子思惟像으로 製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日本의 半跏思惟像은 彌勒菩薩로 推定하고있다. 釋迦牟尼 以後에 나타날 彌勒佛이 지금 彌勒菩薩로서 太子思惟形의 姿勢를 취하는 것은 自然스러운 途上이며, 新羅에서는 花郞을 彌勒과 連結시켜 흔히 미륵보살반가상(彌勒菩薩半跏像)이라고 불렀다. 三國時代인 6세기 候班부터 流行하기 始作하여 統一新羅 初期까지 많은 半跏思惟像이 金銅 또는 石造로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당시의 信仰傾向을 斷片的으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代表的인 豫로는 國立中央博物館에 있는 國寶 제78호와 國寶 제83호의 金銅彌勒菩薩半跏像을 비롯하여 奉化에서 出土된 半跏思惟像을 들 수 있다. 이 半跏思惟像은 日本에도 傳해져 아스카[飛鳥] 時代와 하쿠호[白鳳] 時代에 많이 製作되었는데, 특히 고우류 사[廣隆寺]에 있는 木造半跏思惟像은 國寶 제83호의 半跏思惟像과 거의 같은 形態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많은 적송(赤松)으로 만들어진 점이나 당시 三國과 日本 間의 交流關契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에서 製作된 像으로 推定하고 있다.
'歷 史 旅 行 2 > 中央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立中央博物館/高麗 靑磁 (0) | 2023.02.04 |
---|---|
國立中央博物館/外奎章閣儀軌 (0) | 2022.11.10 |
國立中央博物館/寄贈館 (0) | 2022.11.07 |
中央博物館/아스타나古墳/永遠한 삶의집 (0) | 2022.08.15 |
中央博物館/메소포타미아, 저 記錄의 땅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