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청자
(靑磁)
象嵌 (象嵌)靑瓷는 瓷器의 바탕흙 (胎土)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種類의 흙을 메워 넣는 技法으로 掌食한 靑瓷이다. 다른材料로 메워서 꾸미는 技法은 나전칠기 (螺鈿漆器)나 金屬工藝의 입사 (入絲)技法에서 볼수있는데 이를 陶瓷器에 應用한것은 高麗丈人의 創意的인 發想에서 나온것이다. 이미 9 세기말 10 세기 初로 여겨지는 象嵌技法의 陶瓷器 彫刻이 發見되어 12 世紀 中葉에 이르면서 象嵌靑瓷가 本格的으로 流行하게 된다. 象嵌 技法은 世界 陶瓷器 歷史에서 高麗가 이룬 뛰어난 業績으로 비색 靑瓷 釉藥과 더불어 高麗靑瓷의 特徵이 되고 있다.
칠보무늬향로
(靑磁透刻七寶文香爐)
국보95호
뚜껑 香을 담는 연꽃臺座 받침으로 構成된 香爐이다. 여기에 多樣한 技法으로 精巧하게 粧飾하였다. 특히 돋보이는 점은 香爐를 받치는 안증맞은 세마리 토끼이다. 最小限의 크기로 香爐무게를 支撑하도록 만든 丈人의 솜씨가 뛰어나다.
어룡모양주전자
(靑磁漁龍形注子)
靑瓷어용형주자 (靑磁漁龍形注子)高麗 12世紀의 것으로 國寶 61호이다. . 머리는 龍,몸통은 물고기 模樣을 한 想像의 動物을 어룡 (漁龍)이라고 한다. 이 酒煎子의 경우 龍이날고 있는 모습과 같다 하여 비용(飛龍)이라고도 한다. 一說에 의하면 西海에 사는물고기 一種인 호가 漁龍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傳해온다.
사자장식주전자와받침
(靑磁獅子裝飾注子.承盤)
高麗 11世紀
참외모양병
(靑磁瓜形甁)
국보 94호
高麗 17 대 仁宗 임금의 무덤인 長陵에서 出土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模樣의 甁은 中國古代 靑銅器인 준 이아는 甁의 祈願에 둔다, 뛰어난 色과 完璧한 均衡美로 널리 알려진 高麗靑瓷의 代表的 名品이다.
연꽃모양향로
(靑磁陽刻蓮花形香爐)
이와같은 形態의 香爐는 常形物이 粧飾된 뚜껑의 常形物을 通해 香을 피우도록 構成되어 있다. 香爐의 基本的인 造型은 中國當代 金屬器에 있으며 北宋代에 運營된 河南城 淸凉寺 가마터에서도 靑瓷 香爐片이 出土되었다. 비록 像型粧飾 뚜껑은 없지만 實用器와 感想用器의 性格을 모두 갖춘 秀作이다.
석류모양주전자
(靑磁石溜形注子)
이 酒煎子는 子孫繁昌 특히 아들을 象徵하는 昔瘤를 所在로 하였다. 4개의 昔瘤를 서로 맞붙여 새롭게 再構成 하였다. 각각의 昔瘤에는 하얀 退化占으로 씨 알갱이를 表現하여 昔瘤의 象徵的인 意味가 强調되었다.
사자장식향로
(靑磁獅子香爐)
국보60호
宋나라 使臣 서긍이 지은 "宣和奉使高麗圖經" 에는 師子香爐에 대하여 위에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연꽃이 있어 그것을 받치고 있다. 라고 記錄되어 있다. 記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겠으나 12세기 靑瓷 師子香爐의 特徵을 보여주는 作品이다.
어룡장식향로
(靑磁魚龍蓋蓮花形香爐)
고려 12세기
칠보무늬향로
(靑磁透刻七寶文香爐)
국보95호
뚜껑 香을 담는 연꽃臺座 받침으로 構成된 香爐이다. 여기에 多樣한 技法으로 精巧하게 粧飾하였다. 특히 돋보이는 점은 香爐를 받치는 안증맞은 세마리 토끼이다. 最小限의 크기로 香爐무게를 支撑하도록 만든 丈人의 솜씨가 뛰어나다.
도철무늬향로
(靑磁陽刻陶鐵文香爐)
高麗時代에는 佛敎儀式이나 祭祀에 香을 피워놓기 위한 靑瓷 香爐가 많이 製作되었다. 이 가운데 中國의 靑銅器인" 정"(正) 을 模倣한 靑瓷 香爐가 많다. 이 香爐 안쪽 면에는 글자가 있지만 읽기가 어렵다. 그 아래쪽에는 波濤와 배를 탄 人物像이 陰刻되었다.
도철무늬향로
(靑磁陽刻陶鐵文香爐)
高麗靑瓷 香爐에는 動植物 形狀을 한것도 있지만 이 처럼 中國의 靑銅器인 방정을 충실히 模倣한것도 많다. 몸체에 陽刻된 陶鐵은 中國 靑銅器에서 影響을 받은것이다.
연꽃넝쿨무늬주전자와받침
(靑磁透刻蓮唐草文注子承盤)
高麗 12世紀
모란무늬항아리
(靑磁象嵌牡丹文壺)
국보98호
象嵌靑瓷의 무늬는 大部分 가는선 으로된 線象嵌이 많고 이 항아리처럼 넓은 面을 纖細하게 象嵌한 예는 매우 드물다. 그릇의 形態는 당시 流行하던 동기에서 影響을 받았다. 그릇의 丹精한 模樣과 兩面의 시원스런 牡丹무늬가 잘 어울린다.
연꽃넝쿨무늬매병
(靑磁象嵌複沙牡丹文梅甁)
국보 97호
둥근 어깨부터 허리와 굽에 이르는 부드러운 線의 흐름은 高麗靑瓷가 가진 特有의 曲線美를 잘보여준다 몸체에 陰刻된 화사한 연꽃넝쿨무늬가 梅甁의 優雅한 谷線과 함께 絶妙한 調和를 이루고있다.
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
(靑磁象嵌梅竹鶴文梅甁)
보물1168호
慶南 河東郡 우계리 에서 出土되었으며 典型的인 高麗靑瓷 梅甁形態를 갖추고있다. 대나무는 바람에 날려 한쪽으로 쏠려있고 양쪽으로 길게 뻗은 梅花나무는 全體的인 構圖에 均衡을 잡아주는 役割을 한다. 會話的 이면서도 貴族的인 멋이 느껴진다.
모란무늬매병
(靑磁象嵌銅畵牡丹文梅甁)
보물346호
靑瓷에 구리成分 顔料를 利用하여 무늬를 나타낸것은 드문데 色이 붉게 나타나므로 이를 진사 라고도한다. 특히 梅甁粧飾으로 붉은색이 사용된 예는 매우 드물다.비슷한 靑瓷彫刻이 扶安 유천리와 康津 사당리 가마터에서도 出土되었다.
보자기무늬매병
(靑磁象嵌茯紗牡丹文梅甁)
보물342호
梅甁의 뚜껑을 덮을때 몸체와 마찰을 줄이고 粧飾을 더하기 위해 주둥이와 어깨 위에 보자기를 덮었던것 같다 이와같은 粧飾效果를 얻고자 주둥이를 中心으로 네모난 보자기를 씌운것 같은 무늬를 象嵌하였다.
모란넝쿨무늬조롱박모양주전자
(靑磁象嵌牡丹唐草文瓢形注子)
국보116호
牡丹넝쿨무늬를 逆象嵌 技法으로 表現하였다. 技法이란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 이외의 바탕 부분에 象嵌을 하는것이다. 그릇 表面에 象嵌 무늬를 가득 粧飾할 경우 表面이 변잡스럽게 보이는것을 피하기 위해 使用된 것으로 생각된다.
꽃무늬정병
(靑磁陰刻花文淨甁)
화대나무무늬매병
(靑磁象嵌菊竹文梅甁)
高麗 12世紀
시가있는병
(靑磁象嵌詩銘甁)
원숭이모양묵호
고려 12세기
何處難忘酒 어느 곳인들 술 잊기 어렵구나
靑門送別多 청문에 이별도 많네
용머리장식꽃꽂이
(靑磁透刻龍頭飾筆架)
筆架는 붓을 保管하기 위한 것으로 硯滴과 함께 必須的인 文房具이다. 龍머리 粧飾과 透刻,陰刻,仰角,鐵花등 多樣한 粧飾 技法이 어울려 造型的으로 아름답다. 高麗靑瓷를 代表하는 傑作 가운데 하나이다.
국화무늬조롱박모양작은병
(靑磁象嵌菊文小甁)
복숭아연적
(靑磁桃形硯滴)
高麗 13世紀
구름학무늬기름병
(靑磁象嵌雲鶴文油甁)
무늬의 表現이 매우 單純하지만 날개를 활짝펴고 蒼空을 나는 鶴의 모습이 매우 時事的 이다. 좁은 空間임에도 불구하고 餘白을 많이주어 넓고 푸른 하늘을 나는 鶴의 모습을 보는듯 하다.
국화넝쿨무늬항아리
(靑磁象嵌菊唐草文小壺)
高麗 13世紀
국화넝쿨무늬합
(靑磁象嵌菊唐草文盒)
菊花무늬는 象嵌靑瓷에 自註登場하는 素材 이지만 이처럼 菊花꽃을 큼직하게 象嵌한 예는 흔하지않다. 中心 무늬로 菊花넝쿨 무늬가 시원스럽게 돌려졌고 白象嵌된 꽃中心으로 格子무늬를 두어 꽃술을 表現 하였다.
잎무늬매병
(靑磁三葉文梅甁)
보물340호
鐵絲 顔料로 全體를 칠한 後 무늬 부분을 긁어내고 그 부분에 붓으로 白土를 발랐다. 이러한 方法은 課程이 複雜할 뿐만 아니라 多樣한 材料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여러條件들이 充足되어야만 完成할수 있는 어려운 製作 方法이다.
버드나무무늬병
(靑磁鐵畵柳文甁)
국보113호
圓筒模樣의 靑瓷甁은 매우 드물다. 비슷한 形態의 甁이 日本의 오사카 市立 東洋陶瓷器 美術館에 所藏되어 있는데 술 에관한 詩가 象嵌되어 있어 술을 담았던 것으로 보인다. 兩面에 각각 수양버들을 대담하게 그려넣어 세련된 雰圍氣를 자아낸다.
연꽃무늬참외모양병
(靑磁象嵌蓮花文甁)
바탕에 白土를 象嵌技法으로 넣고 그 부분을 除外한 全面에 鐵 성분이 多量 함유된 釉藥을 발라 구워낸 甁이다. 鐵 成分으로 인해 有色은 黑褐色을 띤다. 全羅南道 康津郡 대구면 사당리 가마터에서 이와같은 瓷器 彫刻이 出土 되었다.
모란갈대무늬매병
(白磁象嵌牡丹柳盧文梅甁)
寶物 345 호
白瓷에 靑瓷 代土를 象嵌하여 넓은면을 만들고 다시 그 면에 瓷土와 白土를 象嵌하는 技法을 使用한것은 이 梅甁이 唯一하다. 靑瓷와 白瓷의 特徵을 적절히 混合하여 만든 독특한 豫 이다.
모란무늬판
(靑磁象嵌銅彩牡丹文板)
正確한 用度를 알수없는 粧飾用 板으로 全體的인 무늬가 매우 華櫚하다. 四角板은 크게둘로 나누어 무늬를 粧飾했다. 中央에는 모란꽃을 부각시켜 붉은색의 구리成分 顔料를 部分的으로 칠했다.
새대나무매화무늬판
(靑磁象嵌梅鳥竹文板)
高麗 12 ~ 13 世紀
연례색이새겨진구름학무늬대접
(靑磁宴札色銘靑磁象嵌雲鶴文大蝶)
입술부분이 밖으로 벌어지면서 全體的 으로그릇의 量感이 줄어들고 있는 大楪이다. 이것은 高麗 後期에 새롭게 나타나는 傾向으로 以後에 만들어지는 粉靑沙器 待接의 原型이 되도 있다.그릇 안쪽에 宴禮色 이 黑象嵌 되었는데 이것은 高麗王室 宴會를 擔當하던 臨時官廳의 名稱이다.
구름용무늬병
(靑磁象嵌銅彩雲龍文甁)
구름용무늬큰접시
(靑磁象嵌雲龍文盤)
高麗 14世紀
을유사온서가새겨진버드나무무늬매병
(靑磁乙酉司瑥署銘靑磁象嵌柳蘆文梅甁)
입술부분이 깨진 梅甁이다. 어깨에는 뾰족한 蓮板文이 몸통에는 버드나무가 象嵌되었다. 버드나무 무늬 사이로 "을유사온서" (乙酉司瑥署)라는 名文이 黑象嵌 되었는데 司瑥署는 高麗와 朝鮮時代에 술을 빚어 共給하던 일을 擔當했던 官廳名 이다. 몸통에 새겨진 官廳 이름으로 보아 술을 담았던 梅甁으로 생각된다.
가사가새겨진국화무늬접시 임신이새겨진구름학무늬대접
구름학모란넝쿨무늬합
(靑磁象嵌雲鶴牡丹唐草文盒)
高麗 13世紀
봉황무늬꽃모양대접
(靑磁象嵌雲鳳文花形大接)
鳳凰과 龍은 一般人이 使用할수 없는 身分을 象徵하는 무늬로 高級 靑瓷에 裝飾되었다. 13세기 靑瓷에 表現된 鳳凰무늬는 양날개를 활짝 뒤로 젖힌채 날아가는 모습이다, 대체로 구름이나 연꽃넝쿨무늬와 함께 登場하고 있다.
집사람무늬항아리
(靑磁瓦居人物文扁壺)
高麗가 中國 元나라의 政治的 干涉을 받게 되면서 高麗靑瓷의 製作도 元나라 陶瓷器의 影響을 받았다. 이 항아리처럼 12세기 靑瓷가 보여주던 餘白의 아름다움은 줄어들고 여러가지 所在를 한면에 複雜하게 構成하는 傾向을 볼수 있다.
명종지릉출토품
(靑磁明宗智陵出土品)
明宗 (1170 ~ 1197) 은 高麗 제 19대 임금이며 陵號는 智陵 이다. 現在 開城市 長風郡 智陵里에 位置한다.
물고기무늬매병
(靑磁象嵌魚文梅甁)
보물347호
高麗末 朝鮮初에 만들어진 梅甁의 一般的인 形態이다. 基形은 高麗末 象嵌靑瓷에 보다 가깝지만 무늬를 表現하는데 印畵 技法의 比重이 높아졌고 탁했던 類藥이 向上되어 比較的 밝은 灰靑色으로 바꿘 점이 두드러진다.
구름용무늬항아리
(靑磁象嵌印花雲龍文壺)
國寶259호
당당한 量感과 豊滿함이 돋보이는 이 항아리는 朝鮮時代에 들어와 새롭게 만들어졌다. 印畵技法과 象嵌技法이 적절히 調和를 이루며 粉靑沙器의 活氣차고 健康한 미감이 잘드러나고 있다.
구름용무늬병
(靑磁象嵌銅畵雲龍文甁)
입이 밖으로 벌어지고 同體下部가 豊滿한 形態의 甁이다, 全體에 象嵌技法으로 多樣한 무늬를 백백하게 粧飾하였고 특히 원안에 位置한 龍이注目된다. 元나라의 影響을 받은 서있는 形態의 龍이 如意珠를 붙들고 있으며 象嵌技法과 動畵技法을 함께 使用하여 華櫚하게 粧飾하였다.
꽃새무늬항아리
(靑磁鐵形象嵌花鳥文扁壺)
구름용무늬접시,구름봉황무늬꽃모양대접,구름용무늬대접,구름봉황학무늬합,"기사"가새겨진꽃새무늬대접
경오가새겨진물가풍경무늬대접,임신이새겨진구름학무늬대접,"정릉"이새겨진연꽃넝쿨무늬대접
석류모양주자
(靑磁石榴形注子)
高麗 12世紀
귀룡모양주자
(靑磁龜龍形注子)
高麗 12世紀
물가풍경무늬정병
(靑磁陽刻漂柳水禽文淨甁)
寶物 344호
高麗 12世紀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文梅甁)
高麗 12 ~ 13世紀
'歷 史 旅 行 2 > 中央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立中央博物館 (統一新羅) (0) | 2012.05.18 |
---|---|
國立中央博物館 (朝鮮粉靑砂器,白磁) (0) | 2011.09.29 |
國立中央博物館 (肖像畵의祕密) (0) | 2011.09.28 |
國立中央博物館 (檀園金弘道) (0) | 2011.07.27 |
國立中央博物館 (外奎章閣儀軌) (0) | 201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