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의문의함선 신안선은 어떻게 발굴되었을까?
(新安海底遺物龍天靑瓷)
1975년 어느날 한 漁夫가 우연히 新安 바다 밑에서 靑瓷花甁을 끌어 올렸다. 이를 계기로 新安船은 650 여년간의 깊은잠 에서 깨어나게 되었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11차례 進行된 水中發掘 期間동안 바닷속에서 끌어올린 全體 遺物은 陶瓷器類 金屬 石製品등 3 萬여점 銅錢 28톤 자단목 1,999여본 船體편 720여점등 方臺한 量에 이른다.
향문화용천청자
東아시아에 佛敎가 傳來되면서 향 文化도 함께 發展하였고 이러한 文化는 陶瓷文化의 擴散을 이어졌다. 向은 점차 宗敎的인 意味를 벗어나 個人的인 심미의 目的으로도 使用되었으며 室內에 向을 피워 周邊을 淸潔하게 하거나 向을 個人的으로 携帶 하기도 하였다. 日本에서는 寺院이나 家庭에서 香爐,촛대,,花甁을 셋트로 粧飾하여 陣列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文化의 定着과 더불어 龍泉靑瓷의 需要도 크게 擴大 되었다.
청동기를닮은청자
豫로부터 古代 靑銅器 文化는 皇帝와 貴族層의 專有物로 여겨져 庶民들의 先望의 對象이었다. 陶瓷文化가 庶民들에게 擴散되는 宋代 以後 靑銅器에 대한 觀心이 커지며 이를 模倣한 陶瓷器들이 多量으로 製作 되었다. 龍泉靑瓷의 경우 香爐,花甁등 儀禮와 관련된 기종들에 고대 靑銅器의 엄숙함이 表現되었다. 이러한 時代的 흐름은 이웃나라에 까지 擴大되는데 高麗靑瓷의 정형 香爐가 그 代表的인 예에 該當한다.
차문화의용천청자
차는 日本에서 貴族社會를 中心으로 藥用 飮料로 使用되기 始作 하였다. 그러나 佛敎의 流入과 함께 宣宗이 流行하면서 僧侶들은 茶禮를 通해 도 를 익히며 이를 즐겨 마시게 되었다. 당시 寺院을 비롯한 上流層에서는 中國에서 收入된 찻잔을 비롯하여 茶道具를 所長하는 것이크게 流行하였다. 新安船에서는 茶盞,잔받침,주자,茶를 담는 함, 茶를 가는 맷돌등 多樣한 茶道具들이 發見되어 茶文化의 發達과 함께 龍泉靑瓷도 發展했음을 알수있다.
용천자기
(龍泉靑瓷)
중국(中國) 절강성(浙江省) 龍泉縣 일대(一帶)에 있던 중국(中國) 최대(最大)의 도자기(陶瓷器)의 제작지(製作地). 송(宋)나라ㆍ명(明)나라 때에 뛰어난 많은 청자(靑瓷)를 산출(産出)했음. 제품(製品) 중(中)에서, 특(特)히 남송(南宋) 시대(時代)에 만든 청자(靑瓷)는 높이 평가(評價)되고 있음
청자모란무늬꽃병
(靑磁牧丹文花甁)
용천요 (龍泉窯)원(元) 14세기 초반
향문화용천청자
東아시아에 佛敎가 傳來되면서 향 文化도 함께 發展하였고 이러한 文化는 陶瓷文化의 擴散을 이어졌다. 向은 점차 宗敎的인 意味를 벗어나 個人的인 심미의 目的으로도 使用되었으며 室內에 向을 피워 周邊을 淸潔하게 하거나 向을 個人的으로 携帶 하기도 하였다. 日本에서는 寺院이나 家庭에서 香爐,촛대,,花甁을 셋트로 粧飾하여 陣列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文化의 定着과 더불어 龍泉靑瓷의 需要도 크게 擴大 되었다.
청동기를닮은청자
豫로부터 古代 靑銅器 文化는 皇帝와 貴族層의 專有物로 여겨져 庶民들의 先望의 對象이었다. 陶瓷文化가 庶民들에게 擴散되는 宋代 以後 靑銅器에 대한 觀心이 커지며 이를 模倣한 陶瓷器들이 多量으로 製作 되었다. 龍泉靑瓷의 경우 香爐,花甁등 儀禮와 관련된 기종들에 고대 靑銅器의 엄숙함이 表現되었다. 이러한 時代的 흐름은 이웃나라에 까지 擴大되는데 高麗靑瓷의 정형 香爐가 그 代表的인 예에 該當한다.
차문화의용천청자
차는 日本에서 貴族社會를 中心으로 藥用 飮料로 使用되기 始作 하였다. 그러나 佛敎의 流入과 함께 宣宗이 流行하면서 僧侶들은 茶禮를 通해 도 를 익히며 이를 즐겨 마시게 되었다. 당시 寺院을 비롯한 上流層에서는 中國에서 收入된 찻잔을 비롯하여 茶道具를 所長하는 것이크게 流行하였다. 新安船에서는 茶盞,잔받침,주자,茶를 담는 함, 茶를 가는 맷돌등 多樣한 茶道具들이 發見되어 茶文化의 發達과 함께 龍泉靑瓷도 發展했음을 알수있다.
용천자기
(龍泉靑瓷)
중국(中國) 절강성(浙江省) 龍泉縣 일대(一帶)에 있던 중국(中國) 최대(最大)의 도자기(陶瓷器)의 제작지(製作地). 송(宋)나라ㆍ명(明)나라 때에 뛰어난 많은 청자(靑瓷)를 산출(産出)했음. 제품(製品) 중(中)에서, 특(特)히 남송(南宋) 시대(時代)에 만든 청자(靑瓷)는 높이 평가(評價)되고 있음
청자모란무늬꽃병
(靑磁牧丹文花甁)
용천요 (龍泉窯)원(元) 14세기 초반
청자모란무늬화병
(靑磁兩耳牧丹文花甁)
용천요 (龍泉窯)원(元) 14세기 초반
다구병
(靑磁多口甁)
용천요 (龍泉窯)남송(南宋 = 元) 13세기 후반
옥호춘병
(靑磁玉壺春甁)
용천요 (龍泉窯)남송(元) 14세기 초반
청자화분
(靑磁花盆)
용천요 (龍泉窯) 14세기 초반
청자굽다리기린잔
용천요 (龍泉窯) 14세기 초반
반점무늬항아리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긴목병
(靑磁長頸甁)
용천요 (龍泉窯)남송 - (元) 13세기 후반
청자연꽃무늬접시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후반
청자물고가모양연적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후반
청자용무늬병
(靑磁陽刻雲龍文甁)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正寶가새겨진항아리
(黃 ? 四耳甁)
석만요(石灣窯)元 14세기 초반
봉황무늬주전자
(靑白磁鳳凰文注子)
경덕진요 (景德鎭窯) 元 14세기 초반
모란무늬매병
(靑白磁牡丹文梅甁)
경덕진요 (景德鎭窯) 元 14세기 초반
연꽃넝쿨무늬병
(靑白磁蓮唐草文兩耳甁)
경덕진요 (景德鎭窯) 元 14세기 초반
작은병 매화무늬병
(靑白磁小甁) (靑白磁梅花文甁)
경덕진요 (景德鎭窯) 元 14세기 초반
청자청병
(靑磁淨甁)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청자모란무늬향로
(靑磁點花牡丹文香爐)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팔괘무늬향로
(靑磁陽刻八卦文香爐)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청자세발향로
(靑磁三足形香爐)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청자주전자 맷돌
(靑磁小注子) (石製茶輾)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元 14세기 초반
잔
(靑磁盞)
용천요 (龍泉窯) (元) 14세기 초반
박산향로
(靑銅博山香爐)
元 14세기 초반
신안선속의고려청자
新安船에서는 多量의 高麗靑瓷가 發見되었다. 大部分 베개,잔받침,硯滴등 高級品으로 高麗時代 靑瓷 生産地인 全羅南道 江津과 全羅北道 扶安에서 13 ~ 14세기 前半經에 製作된것이다. 당시 高麗靑瓷는 日本의 上流層이 選好하여 奢侈品으로 收入되었는데 新安船 出土品과 類似한 高麗靑瓷가 日本의 여러 遺跡에서 發見되고 있다. 특히 新安船 속의 高麗靑瓷의 경우 中國의 南宋과 元으로 건너간 高麗靑瓷를 日本人들이 다시 收集하였을 可能性이 크다.
목간
(木簡)
運送될 物品에는 貨物票라는 木幹을 붙였다. 윗부분은 끈으로 묶을수 있도록 "〉〈" 模樣으로 파거나 구멍을 뚫었다. 윗면에는 物件을 注文한 사람이나 機關의 이름및 商品名이 적혀있다.
동전과주석덩이
新安海底에서는 28톤의 銅錢이 發見되었다. 1세기 ~ 14세기까지 66 種類로 약 800만개에 이르며 中國의 貨幣博物館이라고 부를수 있을 정도로 거의 모든 種類의 貨幣가 모여있다. 특히 地代通寶 (지대통보)와 大圓通寶 (대원통보)는 新安船이 14세기 前半에 沈沒하였다는 것을 알려준다. 왜 이렇게 많은 中國 貨幣가 船舶에 실려 있을까? 그 理由는 日本이 中國에서 銅錢을 收入하여 貨幣로 使用했기 때문이다. 朱錫덩어리와 黃銅版은 녹여서 佛像과 종,기타 器物을 만들기 위해 사들인것이다.
용천자기
(龍泉靑瓷)
新安海底에서 發見된 龍泉靑瓷 가운데 가장 많은 量을 차지하는것은 飮食容器로 접시와 대접, 주자, 발, 고족배, 잔탁, 항아리,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꽃을 담는 花甁, 화분, 수반이 있으며 香을 피워 周邊을 淸潔하게 만드는 香爐와 化粧品을 담는 작은합 등이있고 文房用具로는 人物, 물고기 形態의 硯滴이 있다. 龍泉靑瓷이 文樣에는 牡丹, 蓮花, 연판, 팔보, 팔괘, 쌍어, 용, 운룡 등이 있으며 粧飾技法으로는 陰刻, 陽刻, 印畵, 貼花, 透刻, 老態貼花 등이 使用되었다. 원대 새로운 支配者의 登場은 龍泉靑瓷에도 影向을 주었다. 몽골인이나 이슬람인들은 큰그릇에 飮食을 담아먹었고 이에 따라 큰 그릇의 龍泉靑瓷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大型機種의 그릇은 아시아,中東,아프리카 地域에 輸出되어 큰 歡迎을 받았다.
'歷 史 旅 行 2 > 中央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立中央博物館 (高麗,朝鮮粉靑沙器) (0) | 2011.06.02 |
---|---|
國立中央博物館 (高麗靑瓷) (0) | 2011.06.01 |
國立中央博物館 (墓誌銘) (0) | 2011.03.19 |
國立中央博物館 (日本) (0) | 2011.03.19 |
國立中央博物館 (國寶,寶物) (0) | 201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