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中央博物館

國立中央博物館/金沙里달항아리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金沙里달항아리)

 

항아리만든곳, 金沙里

 

 

1467년 무렵 朝鮮王室 宮闕에서 使用 白瓷 만들기 위해 京畿道 廣州 官窯  王室 陶瓷器 가마를 두었습니다. 金沙里는 1734년 부터 1751년까지 運營 가마입니다. 金沙里 乳白色  우윳빛의 白瓷色 달항아리를 만든 곳으로 有名합니다. 金沙里 收拾 破片을 통해 달항아리 등 金沙里에서 만들어진 白瓷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달항아리

 

1467년 무렵 朝鮮王室 宮闕에서 使用 白瓷 만들기 위해 京畿道 廣州 官窯  王室 陶瓷器 가마를 두었습니다.  1883년 까지 廣州  안 에서도 가마를 약 10 년 마다 옮겼읍니다. 땔감이 떨어지면 나무가 무성한 곳으로 移轉한 것이지요. 金沙里는 1734 년 부터 1751년 까지 運營된 가마 입니다. 金沙里乳白色 곧 우윳빛의 白瓷色과 달항아리를 만든곳으로 有名 합니다. 

 

백자항아리

白磁壺

 

푸른기가 살짝 감도는 純白色 大形 항아리 이다. 入口 부분이 둥굴게 말리고 몸체의 무게 中心이 어깨에 있는데 이는 朝鮮 15 ~ 16 세기 白瓷항아리의 特徵이다. 京畿道 廣州  官窯에서 만든 最高級 白瓷로 王室 行事에 使用되었을 것으로 推測된다. 

 

백자달항아리

白磁壺

보물제1437 호

 

最大 지름과 높이가 거의1:1 比率을  이루는 둥근 항아리다. 그 모습이 보름달 닮아 달항아리라 불린다. 半圓形 몸체를 위 아래로 이어붙여서, 몸체 가운데에 接合痕跡이 있다.  左右 對稱이 살짝 어긋난 느낌을 주지만, 自然스럽고 편안한 美感으로 朝鮮後期 白瓷의 造形性을 代表하는 作品이다.

 

백자철화끈무병

白磁鐵畵繩文甁

보물제 1060 호

 

의 목에 끈을 묶어 드리운것 같은 모습의 白磁  이다. 鐵畵 顔料로 부드러우면서도 거침없이 그어 내린 무늬가 特徵이다. 굽안 바닥에 한글로 적힌 "니 ㄴ,히" 혹은 니가히는 사람 이름으로 여겨진다. 

 

백자상감연꽃넝쿨무늬대접

白磁象嵌蓮唐草文大楪

국보제175호

 

朝鮮時代 象嵌白磁중 가장 뛰어난 藝術品으로 손꼽히는 作品이다. 端正한 形態와 연꽃 넝쿨무늬는 中國 明나라 靑華白瓷를 닮았지만 纖細한 象嵌技法과 乳白色의 부드러운 質感은 高麗 軟質 白磁 의 傳統을 이었다.

 

백자청화매화.새.대나무무늬항아리

白磁靑畵梅鳥竹文壺

국보제170 호

 

朝鮮  15 ~ 16 세기 靑華白瓷 를 代表하는 항아리이다. 梅花나무 위 한쌍의 새와 들국화 그리고 대나무를 마치 한 폭의 花鳥畵처럼 韻致있게 그려냈다. 처음에는 中國 明나라 靑華白瓷 의 影響이 컸지만 차츰 이 항아리와 같이 朝鮮의 情緖와 美感이 담긴 靑華白瓷 로 發展 했다.

 

분청사기상감물고기매병

粉靑沙器象嵌魚文梅甁

보물 제 347 호

 

梅甁 全體에 촘촘하게 印花무늬를 넣어서 灰靑色 바탕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 梅甁의 생김새는 高麗末 象嵌靑瓷에 가깝지만, 무늬는 흰 흙으로 꾸며진 부분이 않아 흰 色의 比重이 늘어가는 粉靑沙器 의 特徵이 잘드러난다.

 

분청사기상감인화구.용무늬항아리

粉靑沙器象嵌印花雲龍文壺

국보제 259 호

 

象嵌과印花 技法이 調和를 이루는 15 世紀 全般 粉靑沙器 의 精髓이다. 象嵌技法 의 力動的인 龍을 中心으로 작은 菊花무늬를 印花 技法으로 꾸몄고, 크고 당당한 形態는 粉靑沙器 固有의 造形性이 돋보인다.  龍무늬가 그려진 이 항아리의 用途는 儀禮와 關聯된것 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