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사
(傳燈寺)
大韓佛敎曹溪宗 제1교구 本寺인 曹溪寺의 末寺이다. 중창기문(重創記文)에는 381년(小獸林王 11) 아도화상(阿道和尙)이 創建한 절로, 1266년(원종 7)에 重創된 이래 3, 4차례의 重修가 있었다고 되어 있다. 이 記錄에 의하면 現存하는 우리나라 寺刹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確實하게 단정짓기는 어렵다. 創建 당시에는 진종사(眞宗寺)라고 했으나 1282년(忠烈王 8) 忠烈王의 비인 정화公主가 僧侶 인기(印奇)를 中國 宋나라에 보내 大藏經을 가져오게 하고, 이 大藏經과 함께 옥등(玉燈)을 이 절에 獻納한 後로 傳燈寺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現在 이 옥등은 傳하지 않고 있다. 1337(忠肅王 6), 1341년(忠惠王 2)에 각각 重修되었다고 하나 당시 傳燈寺의 歷史를 알려주는 記錄은 거의 없는 實定이다. 1605(先祖 38), 1614년(光海君 6)에 일어난 2차례의 火災로 절의 建物들은 完全히 燒失되었고, 그 다음해 4월부터 지경(志敬)이 中心이 되어 再建하기 始作해 7년 만인 1621년 2월에 完成되었다. 1678년(肅宗 4)에 實錄을 保管하는 사고(史庫)가 建立되면서 王朝實錄을 지키는 寺刹로 王室의 保護 아래에 있게 되었다. 이 사고장본(史庫藏本)은 1909년 서울로 옮겨져 朝鮮總督府 분실(分室)에 保管되었다가 지금은 서울大學校 奎章閣에 所長되어 있다.
동 문
(東門)
傳燈寺를 둘싸고있는 鼎族山의 삼랑성(三郞城)에는 문이 東西南北으로 4개의 門이 있다 성곽 둘레는 2,3 km 에 이르고 地形을 利用하여 築造되었다.
양헌수승전비
(梁憲洙勝戰碑)
1866년 丙寅洋擾때 프랑스군을 물리친 梁憲洙 將軍의 功績을 기리는 碑로 앞면에는 "순무천총양공헌수승전비 (巡撫千總梁公憲洙勝戰碑)"라고 새겨져있다. 梁憲洙將軍은 憲宗 14년 (1848)에 武科에 及第한후 벼슬을 지내다가 1866년에는 丙寅洋擾시 프랑스軍을 敗退하는데 決定的인 역활을 한 人物이다. 勝戰碑에는 양헌수를 비롯한 367명이 프랑스軍隊를 맞아 活躍한 당시의 狀況을 狀勢히 記錄하고 있다.
양헌수장군
(梁憲洙將軍)
朝鮮末期의 武臣으로 1848년에 무과 (武科)에 及第하여 여러官職을 거쳤으며 1866년 丙寅洋擾가 일어나자 정족산성 (鼎足山城)에서 프랑스군을 擊退하고 江華城을 回復하였다. 1874년에는 捕盜大將을 지냈고 1875년에는 어영대장 (御影大將)에 1882년에는 지삼군부사 (知三軍府事)에 1884년에는 工曹判書에 任命되었다. 1887년 독련사 (督鍊使)가 되었으며 시호 (諡號)는 충장공(忠莊公)이다.
윤장대
(輪藏臺)
輪藏臺란 佛敎慶典을 넣은 책장을에 축을 달아 돌릴수 있게 만든것으로서 輪藏臺를 한번돌리면 慶典을 읽은것과 같은功德이 있다고 한다. 傳燈寺 輪藏臺는 寶物 제684호를 똑같이 再現 한것이다. 輪藏臺를 세운 이유는 부처님 法이 四方에 널리 퍼지라는 意味와 우리나라에 지세를 고르게 해 亂離가 없고 비바람이 순조로워 豊年이 들고 太平聖代를 이루어 달라는 念願이 들어있다. 이에 傳燈寺에서는 寺刹을 찿아오는 많은 분들이 自身의 삶을 한번되돌아보고 希望하는 所願이 하루속히 成就 되도록 하기위하여 發願文을 作成한후 輪藏臺 안에 넣고 돌리도록 聖物을 趙成하였다.
대조루
(對潮樓)
傳燈寺 境內로 들어서는 入口에 세운 樓閣式 建物이다. 對潮樓가 언제 지어졌는지는 알수없으나 高麗末 大學者 목은 (牧隱) 이색 (李穡)의 전등사시 에서 對潮樓를 읊은 詩句가 있는것으로보아 高麗末에는 이미 對潮樓가 있었던것으로 보인다. 1932년 寺刹안의 建物들을 다시 修理하면서 對潮樓도 다시 지었다고 한다
대웅보전
(大雄寶殿)
傳燈寺에 있는 朝鮮 中期의 木造建物. 寶物 제178호. 1916년 解體·修理할 때 發見된 〈양간록 樣間錄〉에 따르면 이 建物은 1605년에 일어난 火災로 一部가 불타버린 뒤 1614년 12월 또다시 불이 나 完全히 燒失된 것을 당시 사승(寺僧)이었던 지경이 이듬해에 再建하기 始作하여 1621년에 完成했다고 한다. 한편 1855년(철종 6) 화주(化主) 규형(奎瑩)에 의해 大雄殿이 重建되었다는 〈전등본말사지 傳燈本末寺誌〉의 記錄과 지붕을 덮었던 기와의 명문 중에 1876년(高宗 13) 효월화주(孝月化主)가 大雄殿과 藥師殿의 지붕을 고쳤다는 記錄이 있어 이 建物의 建立年代는 朝鮮 中期 以後일 可能性이 높다.
대웅보전
(大雄寶殿)
朝鮮 光海君 13년 (1621)에 다시지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木造建物로 지붕처마를 받치기 위한 粧飾構造인 공포가 기둥위 뿐만아니라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기둥은 가운데 부분을 둥굴게 處理하여 安定感을 주었으며 네모서리 기둥윗 부분에는 벌거벗은 女人像을 彫刻하였다. 傳說에의하면 이것은 절을 짓던 木手의 사랑을 背叛하고 도망친 女人을 彫刻한것으로 나뿐짓을 警告하고 罪를 씻게 하기위해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고 한다. 大雄殿 內部에는 三尊佛이 모셔져 있으며 天藏은 龍,極樂鳥,연꽃등으로 華櫚하게 彩色하였고 부처를 모신 佛壇과 닫집의 粧飾 또한 華櫚하다.
여인상
(女人像)
네모서리 기둥윗 부분에는 벌거벗은 女人像을 彫刻하였다. 傳說에 의하면 이것은 절을 짓던 木手의 사랑을 背反하고 도망친 女人을 彫刻한것으로 나뿐짓을 警告하고 罪를 씻게 하기위해 醜女를 받치게 하였다고 한다.
삼존불
(三尊佛)
釋迦牟尼 부처님을 中心으로 양 옆에 藥師如來부처님과 阿彌陀부처님이 모셔져 있읍니다. 이대에 부처님들은 空間的으로 三世界를 代表하므로 三尊佛이라고도 부름니다.
전등사
(傳燈寺)
1707년에는 유수(留守) 황흠(黃欽)이 사각(史閣)을 고쳐 짓고, 別館을 또 지어 취향당(翠香堂)이라 하고 보사권봉소(譜史權奉所)로 정했다. 그뒤에도 1749, 1839, 1855, 1871, 1876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重修되었을 뿐만 아니라 근래까지 大規模의 重修 불사(佛事)가 이루어졌다. 이때 대조루(對潮樓)를 비롯해 糧穀을 保管하는 정족창(鼎足倉)·석량고(石糧庫) 등의 建物들이 세워지면서 現在와 같은 大規模의 寺刹이 되었다. 1912년 日帝强占期 때 江華·開城 등 6개군에 있는 34개 寺刹을 管理하는 朝鮮佛敎 30본산의 하나로 昇格되었다. 또한. 境內에는 朝鮮時代의 代表的인 寺院建築인 大雄殿(寶物 제178호)·藥師殿(寶物 제179호)을 비롯해 冥府殿·三姓閣·香爐閣·寂默堂·講說堂·梵鍾閣 등이 있다. 重要文化財로는 中國 北宋時代의 梵鍾(寶物 제393호)과 傳燈寺의 末寺인 정수사(淨水寺)에서 개판된 朝鮮時代의 法華經板(1544)이 傳해지고 있는데 이 經板은 6·25戰爭 때 坡州에 있었던 모부대에서 1매를 가져가 現在 104매만 남아 있다. 그밖에 거대한 청동수조(靑銅水槽)와 大雄殿에서 使用했던 작은 玉등 등이 있다
삼랑성
(三郞城)
千年古刹 傳燈寺에 들어서려면 城門을 지나야 합니다. 城門을 지나는 瞬間 우리는 民族의 歷史를 뒤돌아보는 時間旅行을 떠나게 됩니다. 檀君의 세아들 부여,부우,부소가 쌓아서 이름지어진 三郞城 古代土城으로 始作한 이곳에 民草들이 거칠고 둔탁한 할석을 정성스레 다듬고 護國의 淵源을 담아 쌓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三郞城은 山의 地形을 利用해 稜線을 따라 築造한 城으로 길이가 2,300 미터 정도이며 東西南北 각 方向에 城門이 있읍니다. 傳燈寺를 에워싸고 있는 三郞城은 民族自存의 歷史 그 自體 입니다.
약사전
(藥師殿)
傳燈寺 大雄殿의 서북쪽에 있는 朝鮮 中期의 木造建物. 寶物 제179호. 이 建物의 創建年代에 관한 記錄은 없으나 지붕의 막새기와 중에 1896년 大雄殿과 함께 기와를 重修했다는 名文이 있고, 또 建物의 構造나 樣式으로 보아 大雄殿과 거의 같은 時期에 建立된 것으로 推測된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規模가 작은 建物이다. 階段式의 기단 위에 배흘림으로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로 공포를 짜올린 다포식 계통으로 되어 있다. 앞면에는 2분합의 빗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벽은 벽으로 막았다. 공포는 외일출목·내이출목으로, 살미첨차의 끝은 모두 앙서로 되어 있으나 평방을 사용하지 않고 창방 바로 위에 공포를 얹어놓은 점은 一般的인 다포식과는 달리 주심포(柱心包) 樣式을 따르고 있다.
범 종
(梵鐘)
중국 宋나라 때 (1097) 회주 (懷州) 숭명사(崇明寺)에서 무쇠로 만든 中國종이다. 2차 大戰 당시 日本軍이 兵機를 만들려고 부평(富平) 兵器廠에 갖다 놓은것을 光復後에 이곳으로 옮겨놓았다. 鐘의 頂上部에는 두마리 龍으로 이루어진 鐘고리가 있다. 몸통 위부분에는 8괘가 있으며 그밑으로 鐘을 크게 두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8개의 正四角形을 돌렸다. 이 正四角形 안에는 名分을 새겼는데 中國 河南城 白巖山 숭명사의 종이라는 것과 北送 鐵宗 4년 (1097)에 鑄造되었음이 記錄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