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中央博物館

國立中央博物館 (高麗象嵌靑磁)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天下第一翡色靑磁)

 

 

國立中央博物館은 2005년 龍山博物館 開館이래 多樣한 主材의 企劃 特別展을 通해 우리 傳統文化와 觀覽客 간의 시공(時空)을 뛰어넘는 小桶을 摸索해 왔읍니다. 이번 展示 역시 이와 같은 努力의 一環으로 天下第一翡色靑磁라는 主材로 색 (色) 형 (形) 문양 (文樣)이 어우러져 빚어진 高麗靑瓷의 工藝的인 아름다움을 感想하고 그 속에 內在된 "創造"의 意味를 다시 한번 照明하고자 企劃하였읍니다. (國立中央博物館)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國寶 제68호

 

高麗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나라 梅甁에서 由來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서는 高麗만의 豊滿하면서도 有緣한 線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러한 高麗 梅甁의 樣式은 이 作品에서 洗煉味의 極致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의 크기의 梅甁의 아가리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가리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鶴을 새겨 넣었는데, 黑白象嵌한 원 안에는 하늘을 向해 날아가는 鶴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向해 내려가는 鶴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鶴의 進行方向을 다르게 表現한 것은 陶瓷器 表面이라는 一定한 制約을 넘어 四方으로 空間을 擴散시켜 짜여진 區劃으로부터의 自由로움을 追求한 듯하다. 이같은 表現上의 變化 追求와 함께 文樣處理의 能熟함에서 高麗 陶瓷器의 優秀함과 高麗人의 創意力을 엿볼 수 있다. 高麗 13세기 澗松美術館 소장

 

 

 

3부 :

 

高麗 工藝의 定數,象嵌은 高麗의 美感을 십분 發揮 했던 象嵌技法을 集中照明하여 工藝品에서 象嵌이 지니는 技術的.藝術的 價値를 찿아보고자 하였읍니다. 서로다른 材料를 使用하여 工藝品을 粧飾하는 技法은 木工藝品이 나전칠기(螺細漆器)나 金屬工藝品의 입사 (入絲)技法에서도 確認 할수 있는데 이를 陶瓷器에 應用한것은 高麗丈人의 創意的인 發想에서 나온것이다. 우리는 高麗靑瓷를 通해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生活方式을 들여다 볼수 있고 그들이 表現한 서정적(敍情的) 이고 藝術的인 미감(味感)을 감상(感想)할수 있다.

 

국화무늬병

(靑磁象嵌菊花畵文甁)

 

高麗 12세기 1915년 購入

 

백자병

(白磁甁)

 

모란무늬완

(靑磁象嵌牡丹畵文盌)

 

모란넝쿨무늬대접

(靑磁象嵌牡蘭草畵文大接)

 

국화넝쿨무늬완

(靑磁象嵌菊花草畵文盌)

 

국화모란무늬참외모양병

(靑磁象嵌菊花牡丹畵文瓜形甁)

 

仁宗의 莊陵에서 나온것으로 傳하는(靑瓷참외模樣甁)과 形態가 매우 類似하다 差異가 있다면 仁宗 莊陵甁은 紋樣이 없지만 이 甁은 각 면에 菊花와 모란꽃을 번갈아 黑白象嵌 하였다. 이 같은 豫를 通해 우리는 高麗의 獨創的인 技術과 磨勘이 빛어낸 象嵌靑瓷의 優秀性을 確認 할수있다.

 

연꽃잎무늬참외모양병

(靑磁陰刻蓮畵文瓜形甁)

 

仁宗의 莊陵에서 나온것으로 傳하는(靑瓷참외模樣甁)과 形態가 매우 類似하다 差異가 있다면 仁宗 莊陵甁은 紋樣이 없지만 이 甁은 각 면에 菊花와 모란꽃을 번갈아 黑白象嵌 하였다. 이 같은 豫를 通해 우리는 高麗의 獨創的인 技術과 磨勘이 빛어낸 象嵌靑瓷의 優秀性을 確認 할수있다.

 

참외모양병

(白靑磁瓜形甁)

 

1910년 購入 北宋 前期부터 景德鎭 窯에서 製作되어 輸入된 것으로 寮主窯 靑瓷와 紫朱窯 白柚子器에서도 이 같은 機種이 確認된다. 몸체는 참외 模樣이지만 골은 촘촘히내어 과한 느낌을 준다. 긴 몸체에 비해 짧게 만들어진 굽은 여러 겹의 꽃잎 模樣을 形象化 하였다.

 

백자꽃넝쿨무늬합

(白磁象嵌寶相唐草畵文盒)

 

청백자합

(靑白磁盒)

 

새무늬편병

 

넝쿨무늬편병

(鐵釉磁象嵌唐草畵文扁甁)

 

연꽃넝쿨무늬병

(鐵釉象嵌蓮花畵文花甁)

 

철유(鐵釉)는 釉藥 自體가 짙은 저갈색이나 黑色에 가까운 色을 띠며 不透明한것이 特徵이다, 이 같은 鐵柚도 靑瓷 가마터 에서 함께 製作되었다. 그러나 造型이나 粧飾技法 紋樣所在 등에서 高麗靑瓷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백자모란무늬매병

(白磁象嵌牡丹柳盧畵文梅甁)

寶物제345호

 

梅甁의 形態는 12세기 全盛期 高麗靑瓷와 같다. 이 梅甁을 注目하는 또 다른 理由는 白地胎土를 바탕으로 삼고 靑瓷胎土를 象嵌한것과 더불어 그안에 다시 白土와 地土를 二重 象嵌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發想은 高麗丈人의 卓越한 應用能力이 십분 發揮된 것이다.

 

모란무늬항아리

(靑磁 象嵌 牡丹畵文壺)

國寶제 98호

 

高麗 12세기 1986년 購入 象嵌靑瓷의 무늬는 大部分 가는線 으로된 선상이 많고 이 항아리처럼 넓은 면을 纖細하게 象嵌한 예는 매우 드물다. 그릇의 形態는 당시 流行하던 動氣에서 影響을 받았다. 그릇의 丹鼎한 模樣과 兩面의 시원스런 牡丹무늬가 잘 어울린다. 

 

원숭이무늬편병

(靑磁象嵌金埰猿畵篇甁)

 

高麗 13세기 候班 1951년 寄贈  1933년 開城 高麗 宮의 東쪽에 位置한 白心乾燥場 隣近에서 發見되었다. 象嵌靑瓷 表面에 金粉을 발라 粧飾한 火金裝置 高麗史 에 元나라 世祖에게 火金瓷器를 眞像하는 內容이 記錄되어 있어 火金靑瓷는 特定한 階層만을 위해 小數 製作된 것으로 生角된다.

 

연꽃넝쿨무늬주자

(靑磁象嵌蓮花唐草畵文注子)

 

高麗 12세기 1912년 購入

 

모란보자기무늬매병

(靑磁象嵌陰刻牡丹複沙畵文梅甁)

寶物 제342호

 

어께 윗면에 華櫚한 彫刻補 粧飾이 象嵌되어 있는데 이러한 紋樣은 뚜껑과 接觸하는 科程에서 破損을 防止하고 梅甁을 華櫚하게 粧飾하기 위해 부드러운 彫刻補를 梅甁에 씌어 놓았던 常態를 描寫한 것으로 生角한다.

 

꽃무늬정병

(靑磁象嵌花畵文淨甁)

 

포도넝쿨무늬표주박주자

(靑磁象嵌葡萄唐草文篇形注子)

 

모란국화무늬병

(靑磁象嵌牡丹菊花畵文甁)

 

高麗 12세기 1966년 入手

 

구름학무늬완

(靑磁象嵌雲鶴盌)

 

高麗12세기 2001년 購入

 

모란무늬합

(靑磁象嵌牡丹畵盒)

 

高麗 12세기 1906년 購入         高麗 12세기 1911년 購入

 

물가풍경무늬주자

(靑磁象嵌浦柳水畵文注子)

 

동물가풍경무늬병

 (靑銅銀入絲浦柳水畵文甁)

 

국화무늬합

(靑磁象嵌菊花畵盒)

 

高麗 13세기 193년 購入

 

칠기버드나무무늬합

(漆製金描柳畵文盒)

 

全面에 칠을하고 뚜껑의 윗면에는 금분(金粉)으로 그림을 그려 넣었다. 이처럼 金粉으로 紋樣을 粧飾한것은 現在까지 드문 豫에 束하는데 朝鮮時代에 製作된 (莊祖王妃 懸磬王后 玉冊盒)에 鳳凰을 粧飾한 境遇가 있어서 注目된다. 

 

칠기합

(漆製盒)

 

高麗 1926년 1914년 購入 現在 漆器로된 化粧箱子중 溫全하게 傳하는것은 없다. 다만 (靑瓷거북등무늬化粧箱子)에서 高麗時代 기夫人이 使用했던 化粧用 箱子의 모습을 推定할수 있다. 이 처럼 高麗時代 木工藝品과 陶瓷器 사이에서 發見되는 遷延性은 당시 工藝品이 常好 影響關係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根據다.

 

나전대모칠국화넝쿨무늬불자

(螺鈿代瑁漆菊花唐草文佛子)

 

高麗 12世紀 1980년 求入 佛者는 僧侶가 修行할때 使用하는 佛敎道具로 불진 또는 진미라고 하며 더럽고 나쁜것을 털어내버란다는 象徵的 의미가 있다. 螺鈿漆器는 나무에 전복 껍데기나 바다 거북이 등껍질을 利用하여 工藝品을 粧飾하는 基本 課程은 靑瓷의 象嵌技法과 類似하다.

 

 

4부 :

 

 

天下第一을 말하다 에서는 高麗靑瓷 傑作 22점을 先보여 이번 展示의 대미 (大尾)를 粧飾 합니다. 당시 中國사람들도 天下第一로 稱頌했을 만큼 造型과 色이 完璧한 調和를 이룬 高麗靑瓷를 感想할수있는 좋은 期會가 될것 입니다. 남송대(南宋代) 태평노인 (太平老人)이 執筆한 수중금(搜中錦)가운데 천하제일(天下第一)즉 世上에서 가장 으뜸인 것을 모아서 敍述한 部分을 보면 高麗비색이 天下第一 이라는 句節이 있다. 陶瓷器의 宗主國인 中國사람이 高麗靑瓷를 으뜸으로 꼽은것은 高麗靑瓷의 아름다움과 優秀性이 멀리 中國까지 알려졌음을 보여주는 證據이다. 高麗靑瓷의 始作은 中國 技術의 導入이었고 以後여러 徑路를 通해 中國 陶瓷文化의 影響을 받았지만 高麗時代 사람들의 生活方式과 美意識이 고스란히 反影되어 새로운 樣式을 만들어냈으며 質的,量的으로 飛躍的인 發展을 이루었다.

 

원앙모양향로                                                    뚜껑연꽃모양향로

(靑磁鴛鴦形香爐)                                                                                        (靑磁陰刻蓮花形香爐)

 

高麗 12세기 1909년 購入 이와같은 形態의 香爐는 像型物이 粧飾된 뚜껑의 像型物을 通해 香을 피우도록 構成되어 있다. 香爐의 基本的인 造型은 中國당대 金屬器에 있으며 北宋代에 運營된 河南省 淸凉寺 가마터에서도 靑瓷 香爐片이 出土되었다. 비록 像型粧飾 뚜껑은 없지만 實用기와 感想容器의 性格을 모두 갖춘 秀作이다.

 

거북모양주자

(靑磁蓮花龜紋注子)

國寶제 96호

 

高麗 12세기 1966년 入手    高麗 12세기 1916년 購入

 

사자장식향로

(靑磁獅子香爐)

國寶제60호

 

高麗 12세기 1951년 入手 宋나라 使臣 서긍이 지은 "宣和奉使高麗圖經" 에는 師子向路에 대하여 위에 쭈그리고 있는 짐승이 있고 아래에는 연꽃이 있어 그것을 받치고 있다. 라고 記錄되어 있다. 記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겠으나 12세기 靑瓷 師子香爐의 特徵을 보여주는 作品이다. 

 

용머리장식붓꽂이

(靑磁透刻龍頭飾筆架)

 

高麗 12세기 1912년 購入 筆架는 붓을 保管하기 위한 것으로 硯滴과 함께 必須的인 文房具이다. 龍머리 粧飾과 透刻,陰刻,仰角,鐵花등 多樣한 粧飾 技法이 어울려 造型的으로 아름답다. 高麗靑瓷를 代表하는 傑作 가운데 하나이다.

 

어룡모양주자

(靑磁漁龍形注子)

國寶 제61호

 

高麗 12세기 1951년 入手 청자어용형주자 (靑磁漁龍形注子) 高麗 12 世紀의 것으로 國寶 61호 이다 . 머리는 용,몸통은 물고기 模樣을 한 상상의 動物을 어룡 (漁龍)이라고 한다. 이 酒煎子의 경우 龍이날고 있는 모습과 같다 하여 비용(飛龍)이라고도 한다. 一說에 의하면 西海에 사는물고기 一種인 호가 魚龍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傳 해온다.

 

구름학무늬항아리

(靑磁象嵌雲鶴畵文四耳壺)

 

高麗 12세기 1916년 入手

 

동녀모양연적                                                        동자모양연적

(靑磁童女形硯滴)                                                                         (靑磁童子形硯滴)

 

이 硯滴은 각각 淨甁과 새를 안고 있는 어린아이의 모습을 成型靑瓷로 만든것이다. 옷의 紋樣과 情感어린 눈매까지 纖細하게 表現한 수작 (秀作)이다.

 

원숭이모양연적

(靑磁猿形硯滴)

國寶 제27호

 

高麗 12세기 澗松美術館 所藏

 

석류모양주전자

(靑磁石溜形注子)

 

高麗 12세기 1910년 購入 이 酒煎子는 子孫繁昌 특히 아들을 象徵하는 石榴를 素材로 하였다. 4개의 石榴를 서로 맞붙여 새롭게 再構成 하였다. 각각의 石榴에는 하얀 退化占으로 씨 알갱이를 表現하여 石榴의 象徵的인 意味가 强調되었다. 

 

칠보무늬향로

(靑磁透刻七寶畵文香爐) 

國寶 제 95 호

 

高麗 12 世紀 1911년 購入 뚜껑 香을 담는 연꽃對座 받침으로 構成된 香爐 이다. 여기에 多樣한 技法으로 精巧하게 粧飾하였다. 특히 돋보이는 점은 香爐를 받치는 안증맞은 세마리 토끼이다. 最小한의 크기로 香爐무게를 支撑하도록 만든 丈人의 솜씨가 뛰어나다.

 

용모양정병

(靑磁九龍形淨甁)

 

高麗 12세기야마토文化館 所藏

 

모란무늬매병

(靑磁象嵌銅彩牡丹畵文梅甁)

寶物 제346호

 

高麗 12세기 1908년 購入

 

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

(靑磁象嵌梅竹鶴畵文梅甁)

寶物 제903호

 

高慮 12세기 寄託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0년 購入

 

용봉황넝쿨무늬편병

(靑磁象嵌龍鳳唐草畵文篇甁)

 

高麗 13세기 1913년 購入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國寶 제68호

 

高麗13世紀 澗松美術館所藏

 

모란넝쿨무늬조롱박모양주자

 (靑磁象嵌牡丹唐草文瓢形注子)

國寶116호

 

高麗 12 ~ 13世紀 1926년 購入 모란넝쿨무늬를 逆象嵌 技法으로 表現하였다. 技法이란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 이외의 바탕 部分에 象嵌을 하는것이다. 그릇 表面에 象嵌 무늬를 가득 粧飾할 경우 表面이 변잡스럽게 보이는것을 피하기 위해 使用된 것으로 生角된다. 

 

포도동자무늬조롱박모양주자와받침

(靑磁象嵌辰砂彩葡萄童子文瓢形注子承盤)

 

 高麗 12 ~ 13세기 1909년 購入

 

매화대나무물새무늬매병

(靑磁象嵌梅竹水畵文梅甁)

 

高麗 12세기 도쿄國立博物館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