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중 국
(中國)
예기란 中國古代 貴族들이 宗廟와 宮室등에서 儀式을 擧行할때 使用한 道具이다. 使用者의 地位,身分,權力에 따라 嚴格한 制限을 두어 使用하였으며 玉,靑銅,木材등으로 만들어졌다. 玉禮器는 原始社會 末技 氏族社會의 出演 당시부터 使用되었다. 新石器時代에 生産性이 높아지면서 점차 精神的인 世界에 關心을 가지게 되어 呪術的인 意味를 띠는 벽,종,규,장 등을 製作 使用하였는데 이러한 玉禮器는 裝身具 役割도 兼하였다. 靑銅禮器는 下隊 기의 形成과 함께 出演 하였으며 上主時代 以後 政治權力의 象徵物이 되었다. 種類는 쥐기,食器,주기,수기,樂器 가 있다. 禮器에 의하면 身分階級에 따라 靑銅器의 賣場數量을 달리했다고 한다. 이 記錄은 허난성 산시성등지의 王 諸侯무덤에서 出土된 靑銅器에 의해 歷史的 事實로 證明되고 있다.
팔선무늬병
(八仙文甁)
청(淸) 205년 購入
봉황무늬큰접시
(粉彩鳳凰文大盤)
청(淸) 옹정(饔正) 1723 ~ 1735 2003년 購入
돌.꽃무늬사발
(鬪彩怪石花卉文碗)
1931년入手景德鎭窯(1723 ~ 1733)
인물무늬접시
(五彩人物花蝶文盤)
景德鎭窯 (1573 ~ 1620)
접 시
(盤)
청(淸) 강희(糠熙1662 ~ 1722) 2003년 구입
송.죽.매무늬항아리
(靑花松竹梅文壺)
원(元) 1271 ~ 1368 2002년구입
마름꽃무늬접시
(靑花菱花形盤)
명(明) 홍무(洪武) 1368 ~ 1398 2002년 구입
불교팔보문편병
(佛敎八寶文篇甁)
청(淸)건륭(乾隆) 1736 ~ 1795 2004년 구입
불교팔보문
불교 팔보는 법라(法懶),법륜(法輪),보산(寶傘),백개(白蓋),연화(蓮花),보병(寶甁),금어(金漁)반장(盤長)이 있다. 부처님 말씀이 위대함을 상징 한다.
여의
(如意)
청(淸) 1987년 박병래 기증
경덕진요
(景德鎭窯)
景德鎭窯는 장시 성 (江西省) 경덕진 (京德鎭)에 位置하며 오대 (五代)부터 靑瓷와 白瓷를 生産하였다. 宋代에는 영청 (影靑)이라 불리는 靑白瓷를 製作하기 始作 하였다. 靑白瓷를 大量生産 하기 위해 정요 (定窯)의 엎음 포개구이 技法을 使用하여 원대 (元代)에 景德鎭窯는 中國全體 瓷器生産의 中心地가 되었다. 원대에는 청화 (靑花) 유리홍 (釉里紅)등이 製作되고 明,靑代에는 투채 (鬪彩) 오채 (五彩) 분채 (粉彩) 법랑채 (琺瑯彩)등의 채색자기 (彩色磁器)가 製作 되었다.
해서대련
(楷書對聯)
유환지는 靑代 代表的인 書藝家 유용의 조카이며 官僚이자 文人 書畵家로 벼슬은 혀부상사에 이르렀다. 일찍이 우리나라의 유득공 이덕부등과 北京에서 만나 交遊하기도 하였으며 이덕부 등과 北京에서 만나 交遊하기도 하였으며 아들인 유희태도 秋史 金正喜 등과 交分이 투터웠다.
자주요
(磁州窯)
磁州窯는 宋,元代 代表的인 민요 (民窯) 히베이성 (河北省) 츠힌에 位置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磁州窯의 特徵은 흰바탕에 검은 신으로 그림을 그리는 백지흑화 (白地黑花)粧飾技法이며 허난 성, 산시 성 등에서도 製作되었다. 磁州窯의 陶瓷器는 一般市民들이 使用하던 生活用品이다. 磁州窯의 胎土는 定窯 白瓷와는 달리 거칠고 稠雜하여 짙은색을 띤다. 畸形은 접시,대접,병,항아리,베개등이 있다.
증장천왕
(增長天王)
이 神像은 須彌山 중턱에 살면서 佛法을 守護하고 世上을 지키는데 에 名義 천왕중 하나인 增長天을 表現한것이다. 現在 地物이 없어졌지만 오른손에 캉을쥐고 왼쪽손에 칼을 받치고 있었던 것으로보아 南方의 유리지방을 支配한 增長天王 임을 알수있다.
아수라
(阿修羅)
청(淸) 1644 ~ 1911 1982년 發掘
부 처
(金銅佛坐像)
명(明) 1368 ~ 1544 1996년 구입 신수
창조신복희와여와
(伏義女瓦圖)
中國의 天地創造 燼灰에 登場하는 伏羲와 女瓦를 所在로 삼은 그림이다. 中央에 痘神이 上半身은 사람 下半身은 뱀의 모습을 하고 登場하며 왼쪽이 女瓦 오른쪽이 伏羲 이다. 각각 컴퍼스와 구부러진 자를 들고 있다. 이는 둥근 하늘과 네모난 땅으로 이루어진 中國의 傳統的인 宇宙觀과 關聯된 象徵物이다. 背景에는 해와달 별자리가 그려져 있어 하나의 小宇宙를 再現하고 있다. 中國的인 素材를 다루고 있지만 얼굴과 손에 보이는 陰影 表現,해와달의 形象化 方式에서 中央아시아적인 特徵이 잘드러난다.
길주요
(吉州窯)
장시성 (江西省) 지안(吉安)에 位置한다. 南宋時期 以後 北方에서 이 地域으로 내려온 자주요 (磁州窯) 陶工의 技術로 흰바탕에 顔料로 紋樣을 그려내는 흑화갈 채자기와 黑色 釉藥을 입힌후 紋樣을 긁어내는 척화지가 有名하다.
감주요
(甘州窯)
장시성 (江西省) 간저우 (한州)위치한다. 유두문소호는 甘州窯의 代表的인 製品으로 안쪽에는 黑色 釉藥이 입혀져 있으나 겉면은 釉藥을 바르지 않은채 楕圓形 무늬가 겹겹으로 새겨져 있다.
건 요
(建窯)
푸젠성 지엔양에 位置한다. 토끼털 무늬 기름방울 무늬가 있는 黑釉盞은 建窯의 代表的인 製品으로 北宋時代 皇帝의 特別한 사랑을 받았다.
차도구
(茶道具)
14세기 무렵동아시아에는 茶 文化熱風이 불었다. 당시 日本에서는 茶道具의 需要가 많아 中國에서 茶 關聯 文物을 많이 收入하였다. 新安船에서는 黑釉茶盞,찻물을 끓이는 朱子 그리고 찻잎을 가는 맷돌등이 發見되었다. 그 중맷돌은 日本 큐고우시에 所長되어 있는 正化午年 명맷돌과 비슷하다. 당시 찻잎을 가는 맷돌은 매우 貴해서 서로 빌려썼다고 하며 이를톨해 당시 寺院에서 말차가 流行하였음을 알수있다.
철점요
(鐵店窯)
鐵店窯는 貯藏性 진화 티에디엔에 位置한다. 進化地域은 漢나라 때부터 元나라 때까지 靑瓷를 주로 만들었으며 특히 鐵店窯에서는 元나라 때 不透明한 釉藥을 使用하는 均窯의 遺託柚子器를 模倣하여 製作하였다.
노호동요
(老虎洞窯)
老虎洞窯는 貯藏性 항저우에 位置한다. 老虎洞窯는 南宋時期에 官窯를 製作한 곳으로 元代에도 南宋官窯 風을 이어받은 靑瓷를 生産하였다.
용천요
(龍泉窯)
龍泉窯는 中國貯藏性 西南部 룽취안에 位置하고 있다. 英語로 청자색을 뜻하는 셀라돈이 바로 이 龍泉窯 靑瓷에서 由來되었을 만큼 龍泉窯는 아름다운 靑瓷의 代名詞로 通한다. 龍泉窯의 뛰어난 靑瓷 빛깔을 흔히 粉靑이라 부르는데 이것은 男工官窯의 影向을 받아 製作된 것으로 釉藥을 여러번 발라 玉과같은 淸雅한 質感을 느끼게 한다.
실생활도자
(實生活道瓷)
柱房序盤 오른쪽에는 七氣받침 黑釉茶盞 등의 다기가 놓여있고 그 아래 칸에는 술이 담겨진 梅甁이 있으며 柱房 왼쪽의 料理師 周邊에는 술이 담겨진 靑瓷 注子와 飮食이 담겨진 靑瓷접시가 보인다. 이 그림에 描寫된 陶瓷器와 비슷한 것들이 新安船에서 많이 發見되었다.
명기와도용
(明器와道龍)
中國은 全國時代 經濟와 社會의 發展으로 旬葬制度가 사라지고 禮器制度가 無意味 해지면서 副葬品의 種類에 많은 變化를 가져왔다. 특히 한대에는 厚葬制度가 流行하면서 貴族무덤의 副葬品 種類에는 많은 變化가 생겼다. 한대 以前에는 玉器 靑桐그릇등의 에기와 實生活에 使用된 吐器,武器,馬具類가 주로 埋藏되었지만 한대 以後에는 人間의 感情이나 生活相을 실감내게 表現한 人物과 動物陶俑 制作이 飛躍的으로 發展하면서 埋葬 數量이 急擊히 增加하였다. 따라서 博山香爐등 실제 使用된 生活用品과 함께 中國人의 生活을 그대로 描寫한 人物,家畜,家屋,부뚜막,畜舍등이 明器와陶俑으로 製作되었다. 또한 唐나라때는 한대 厚葬制度가 復興하여 三彩로 珍妙收 말 낙타 등을 華櫚하게 埋葬하였다.
두마리용무늬사발
(靑花雲龍文碗)
경덕진요 (景德鎭窯) 청강희 (淸康熙) 1662 ~ 1722
국화무늬꽃잎모양접시
(粉彩菊花文花葉形盤)
白瓷表面에 紋樣을 그리고 그 부분에만 유리백을 칠 한후 彩色顔料로 濃淡을 表現하여 다시 저온 소성한다. 中國繪畵의 表現方法을 應用한 것으로 立體的이고 매우 事實的이다.
참외모양병
(靑白磁瓜稜形甁)
경덕진요 (景德鎭窯) 북송 (北宋) 960 ~ 1127
사자모양베개
(靑白磁獅子形枕)
경덕진요 (景德鎭窯) 북송 (北宋) 960 ~ 1127
모란넝쿨무늬매병
(白釉黑剔花纏枝牡丹文梅甁)
北宋代 紫珠窯의 特徵的인 白瓷黑化甁 이다. 白色 粉粧면 위에 黑色 粉粧土를 바른다음 무늬를 새기고 그 外角線을 따라서 餘白을 긁어내어 黑色 牡丹넝쿨무늬를 만들었다. 둥근 어께에서 流線型으로 좁아드는 形態이다.
반점무늬납작병
(黑柚醬斑文扁甁)
경덕진요 (景德鎭窯) 북송 (北宋) 960 ~ 1127
풀꽃무늬병
(白釉黑花草花文甁)
자주요 (磁州窯) 元 1271 ~ 1368
꽃.과일무늬주전자
(靑花花果文執壺)
경덕진요 (景德鎭窯) 명 영락 (明 永樂) 1403 ~ 1424
도포입은남성
(彩繪男俑)
작은관을 쓰고 무릎까지 오는 塗布를 입고 있다. 손에 구멍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두 손을 앞으로 모으고 무엇인가 들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황 소
(黃牛俑)
동한시기 畵像石에서 牛耕의 모습이 보이며 수대 부터 마차를 끌거나 耕作에 利用된 소의 形象이 陶俑으로 製作되어 나타나기 始作한다. 뿔과 高格이 事實的으로 보이며 지금의 황소 모습과 별다른 차이가 없을 程度로 우직한 表定이 잘 表現 되었다.
낙 타
(駱駝庸)
唐代初期 실크로드가 繁榮하여 貿易이 盛行하면서 낙타의 수요가 많아져 戰利品 助攻 商品 으로 中國으로 大量 收入된다. 大部分 雙峯낙타이고 短棒낙타는 아프리카 北部 印度등에서 直輸入된것으로 小量 出土된다.
등대
(獅子粧飾燈臺)
師子,龍,鳳凰등 상서로운 動物로 粧飾한 燈臺이다. 師子形相의 받침에는 연꽃과 박쥐나무,물결무늬 등을 華櫚하게 칠장식했고 師子는 粧飾된 印章과 다래를 갖췄으며 安葬 위에는 등을 連結하는 봄을 꽃는 구멍이 있다. 봄의 윗부분은 鳳凰의 形象으로 彫刻하여 둥근 공 모양의 燈籠을 달았고 銅製의 燈籠은 9마리의 龍을 透刻으로 粧飾한 半球形 2개를 連結했다. 靑代 漆工藝品의 精巧한 技巧와 華櫚함을 보여주는 工藝品이다.
중국차도구
(中國茶具香爐)
中國唐代 에는 文人과 僧侶들이 精神함양 目的으로 茶를 感想하고 平하는 품다 文化가 發展 하였다. 宋代에는 肯定에서 最高級의 茶를 즐겼고 民間으로 茶 文化가 擴散 되었다. 또 向 즐기는 人口가 늘면서 多樣한 香 道具도 製作되고 大衆化 되었다. 茶를 마시고 香을 피우며 꽃을 완상하는 文化는 日本의 禪宗 寺刹과 가마쿠라 幕府의 主要 仁寺 上級武士 들 사이에서도 人氣를 끌었다. 이에 關聯된 器物이 中國에서 大量으로 收入되었고 이러한 中國제 物件은 가라모노라고 불렀다. 1323년에 元나라 經援에서 日本 가마쿠라의 하카타로 向하던 貿易船인 新安船에서 發見된茶 香 꽃과 關聯된 器物과 粧飾助子機 이다. 新安船에서는 黑釉 다완,잔과 잔대,주전자,차합.찻물을 담는 항아리등 多樣한 茶具들이 發見되어 당시의 中國人과 日本人들 사이에 茶 文化가 愛護되었음을 알수 있다.
'歷 史 旅 行 2 > 中央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立中央博物館 (檀園金弘道) (0) | 2011.07.27 |
---|---|
國立中央博物館 (外奎章閣儀軌) (0) | 2011.07.26 |
國立中央博物館 (掛佛) (0) | 2011.06.02 |
國立中央博物館 (佛陀) (0) | 2011.06.02 |
國立中央博物館 (朝鮮白瓷) (0) | 2011.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