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1/王&妃生家

明成皇后生家

(明成皇后生家)

 

 

明成皇后가 1851년 이곳에서 태어나 8세 까지 살던 집이다. 원래 朝鮮肅宗 13년 (1687)에 肅宗의 장인이며 仁顯王后의 아버지인 민유중 (閔維重)의 묘막 (墓幕)으로 建立 되었는데 당시 建物로서 남아있는것은 안채 뿐었으나 1995년도에 사랑채,행랑채,별당을 復元 하였다.  

 

하마비

(下馬碑)

 

이 碑石의 전면에는 ‘이곳에 이르면 大小人員은 말에서 내리라(至此 大小人員 下馬 碑)’고 쓰여 있다. 下馬碑 는 지금 지방의 향교 등에서도 하마비가 남아있다. 종묘의 下馬碑 는 創建과 더불어 存在했던 것은 아니다. 1413년(太宗 13년)에 宗廟, 궐문(闕門)의 입구[洞口]에 ‘ 大小  管理로서 이곳을 지나는 자는 모두 말에서 내리라(大小官吏 過此者 皆下馬)’는 푯말[標木]을 세운 것이 처음 始作이라 한다. 그것이 後日 돌로 만든 석비(石碑)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내려오는 것이다.

 

명성황후

(明成皇后)

 

朝鮮 제26대 高宗의 妃. 性은 민씨(閔氏). 본관은 여흥.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치록(致祿)의 딸이다. 1866년( 高宗  3), 16세 때 興宣大院君 부인 閔氏의 推薦으로 王에 揀擇· 冊封되었다. 大院君 과 對立해, 閔氏 척족들을 政府 要職에 앉히고 勢力 基盤을 착실히 다져갔다. 大院君 의 실정(失政)이 繼續되자, 高宗에게 친정(親政)을 宣布하게 하여 閔氏의 外戚政權을 樹立하였다. 이윽고 大院君派를 肅淸하고 政權을 장악, 76년 韓日修好條規를 맺고 일련의 開化政策을 施行하였다. 82년 壬午軍亂으로 身邊이 위태롭게 되자 宮闕을 脫出, 화개동 윤태준(尹泰駿) 집을 거쳐 충주· 장호원으로 避身生活을 하였다. 靑軍의 出動으로 軍亂이 鎭壓되자 大院君을 靑나라로 拉致해 가도록 일을 꾸며 閔氏 政權을 再樹立하였다. 84년 甲申政變으로 閔氏씨 一族이 失脚하자 심상훈(沈相薰) 등을 사주, 靑나라의 介入으로 開化黨  政權을 무너뜨렸다. 그러나 日本勢力의 浸透로 김홍집(金弘集) 등의 親日內閣이 得勢하고, 94년 大院君의 再登場으로 甲午改革이 始作되자, 이번에는 러시아에 接近하였다. 이에 日本公使 미우라고로〔三浦梧樓〕는 日本朝鮮倂合에 큰 障碍가 되고 있던 와 그 척족 勢力을 除去할 目的으로 訓練隊와 일 日本 政治浪人을 시켜 皇宮을 襲擊  를 虐殺하게 한 乙未事變을 일으켰다. 그 후 廢位되어 서인이 되었다가 10월 복호(復號)되고, 97년(光武 1) 明成이란 諡號가 내려졌다.

 

명성황후

(明成皇后)

 

명성황후추모비

(明成皇后追慕碑)

 

追慕碑明成皇后의 愛國에 대한 崇高한 精神을 기리기 위하여 製作되었다. 두개의 直四角形은 過去와 現代를 象徵하는 기둥이며 歷史의 中心에 서있는 明成皇后의 모습을 碑文으로 表現하였고 彫刻 上層部에는 빛의 表現 으로 우리民族史에 길이 빛날 明成皇后의 象徵으로 表現 하였다.  글:김 남조

 

명성황후탄강구리비

(明成皇后誕降舊里碑)

 

明成皇后의 誕生을 記念하기 위하여 故鄕집에 세운 碑石이다. 誕降은 王이나 聖人이 世上에 태어났음을 말하고 舊里故鄕이라는 뜻으로 明成皇后誕降舊里明成皇后께서 태어나신 옛마을 이란 뜻이다.

 

민유중신도비

(閔維重神道碑)

 

閔維重은 (1630 ~ 1687)은 仁顯王后의 아버지로 朝鮮 제19대 임금인 肅宗의 장인이며 明成皇后의 6대조 할아버지다. 神道碑는 墓로가는 길목에 세워져 임금이나 고관의 業績을 기리는 碑石이다. 閔維重은 1650년 에 과거에 급제한뒤 承文院과 藝文館 등의 要職을 거쳐 忠淸道觀察使, 成均館대자성, 戶曹判書, 兵曹判書 등을 歷任 하였다.  墓에는 閔維重과 先生의 夫人이 合掌되있으며 封墳 주위에는 護石이 둘러져 있다. 神道碑에는 閔維重業績을 紹介하고 그를 讚揚하는 글이 새겨져 있다. 의 基壇石의 몸통은 거북이 形象이며 머리는 龍의 模樣으로 오른쪽으로 틀어져 墓所를 向하고 있는데 이곳에서 150 m 地點에 閔維重가 있다.

 

(感古堂)

 

 

感古堂은 朝鮮 王朝에서 두 王妃를 排出한 歷史的 價値가 높은 建物이다. 肅宗의 繼妃인 仁顯王后 (1667 ~ 1701)가 張禧嬪과 갈등 속에서 王妃에서 물러난뒤 以後 復元될때 까지 5 년 동안 이곳에서 거처하였고 明聖王后 (1851 ~ 1895)가 8세때 驪州에서 漢陽으로 올러간후 1866년 (高宗3년) 王妃 로 揀擇 冊封되기 전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感古堂으로 불리기 始作한것은 1761년 英祖가 孝誠이 지극했던 仁顯王后 를 기려 感古堂 이란 扁額을 下賜한後 부터 이고 본래는 서울시 鐘路區 安國洞 德成女高 本館 서쪽에 位置해 있었으나 1966 년 道峰區 以後洞으로 옮겨졌고 以後 以後 高等學校 新築計劃에 따라 撤去될 危機에 처하자 2006년 明聖王后生家 聖域化事業을 推進하던 驪州郡이 現地 位置로 以前 建築하여 수차례 修理하고 以前하면서 본래의 모습은 變形되었지만 感古堂 朝鮮時代 中部地方 士大夫 집안의 典型的인 建築形態를 보여주고 있다.

 

감고당

(感古堂)

英祖御筆

안 채

 

안 공간인 안채는 몸채, 內堂 등으로 부리기도 하며 집안의 주인마님을 비롯한 女性들의 空間으로 大門으로부터 가장 안쪽에 位置하였다. 안채는 안방, 대청, 건넌방, 웃방, 다락부엌 등으로 構成되었다. 안채의 안방은 位置  上流住宅의 室內 空間중에서도 象徵的으로 가장 중요한 位置에 있었으며 出産, 臨終등의 일이 이루어지던 女性들의 주된 生活 空間 이다, 안채는 位置上 大門으로부터 가장 안쪽인 북쪽에 位置 하고 있다, 이는 朝鮮時代 女性들의 外部出入을 制限하던 당시 社會相을 反映하는 空間配置라고 볼수있다, 明聖王后가 8세때부터 王妃로 揀擇 冊封되기 전까지 이곳에서 머물렀고 肅宗의 繼妃인 仁顯王后가 王妃에서 물러난後 이곳에서 居處하였다.

 

인현왕후

(仁顯王后)

 

인현왕후(仁顯王后, 667년 ~ 1701년)는 朝鮮의 王 肅宗의 繼妃이다. 性은 민(閔), 휘호는 효경숙성장순원화의열정목인현왕후(孝敬淑聖莊純元化懿烈貞穆仁顯王后). 여양府院君  閔維重과 은성부부인 송씨의 딸이다. 민진우, 민진원, 민진영의 누이였다. 肅宗의 정비 仁敬王后가 죽은 1년 뒤인 1681년 繼妃가 되었다. 그녀가 태어날 때 집안에 光彩가 났다고 하며 出産直後에 향긋한 香氣가 났다고 傳해진다. 하지만 그녀의 큰아버지는 그녀가 너무 아름답고 착하여 일찍 死亡할 것이 염려되었다고 했다는 말이 傳한다. 肅宗의 초비 仁敬王后가 죽은 후 1년 후에 大妃 김씨와 西人勢力들의 推薦으로 중궁으로 뽑힌다. 그 후 肅宗이 病席에 눕게 되자 大妃 김씨가 祈禱를 올린다고 하였으나 겨울에 몸이 상할까 염려되어 自身만이 祈禱를 올려도 充分할 것이라고 하였으나 大妃 김씨가 이 말을 따르지 않고 祈禱를 올렸다가 大妃는 곧 死亡 하고 만다.  嘉禮 初期부터 肅宗은 宮人 出身 後宮 장씨(張氏)의 미색(美色)에 혹하여 後宮 장씨를 寵愛하였고 王后를 멀리하였다. 그러자 仁顯王后가 張禧嬪을 牽制하고자  김수향의 從孫女인 영빈 김씨를 推薦하여 入闕시키기도 했다 한다.

 

인현왕후

(仁顯王后)역    박 하 선

 

행랑채

(行廊房)

 

行廊房는 大門間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位置하여 집안에서 가장 身分이 낮은 머슴들이 起居하는 空間이었으며 곡식을 貯藏하는 場所로도 活用하였다. 이곳에서 下人들이 農閑期에는 새끼를 꼬고 가마니 짜는 일을 하였다. 朝鮮時代 上流 住宅은 身分과 男女別 장유(長幼)별로 空間을 分離하여 大家族이 함께 어우려져 사는 당시의 家族生活을 고려한 空間 配置를 하였다.

 

사랑채

 

사랑채는 男子主人과 귀한손님이 起居하는 空間이다. 행랑채와 중문채 중간에 자리하였고 대청,사랑방,누마루로 構成되어있다. 사랑채는 外部로 부터 손님들에게 宿食을 대접하고 아웃이나 親知들이 모여서 親睦을 圖謀하고 어른이 子女들에게 學問을 敎育하는 場所이기도 하였다. 또한 士大夫 男子들이 모여서 學問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하고 시를 짓고 거문고 등의 樂器를 演奏하며 수준높은 文化生活을 한것도 사랑채에서 이루어졌으며 儒學을 獎勵하여 文筆文學을 尊重하고 經典을 硏究하는 風潮가 만연하였고 朝鮮時代에는 사랑방 文化가 發達 하였다.

 

명성황후

(明成皇后)

 

1851년 음력 9월 25 일 경기도 여주 근동면(近東面) 섬락리(蟾樂里) 사저 (현재의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 250-1)에서 민치록(閔致祿)의 재취부인 한산 이씨의 딸로 태어났다. 1남 3녀의 兄弟가 있었으나 모두 죽고 그녀만이 남았다.  생가는 閔維重의 墓所를 지키기 위해 지은 집으로 아버지 閔致祿은 문음으로 出仕하기에 앞서 閔維重를 지키는 일을 하였다. 王后는 어려서 아버지 閔致祿으로부터 學問을 배웠는데, 《小學》·《孝敬》·《여훈》(女訓) 등을 즐겨 읽었고, 특히 歷史를 좋아하여 治亂과 國家의 전고에 밝았다. 오늘날 그녀의 공부방 자리에는 明成皇后誕降舊里碑 (생가 입구 오른쪽)가 세워져 있다. 9세 때인 1858년 아버지 閔致祿이 죽자 습렴하는 모습을 어른처럼 지켜보아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였다. 歷史小說 《 운현궁의봄》에서는 閔致祿이 病으로 자리에 누웠을때에 看護를 한 孝女로 描寫되고 있다.  아버지가 죽은 뒤 蟾樂里 私邸에서 漢陽 感古堂 으로 옮겨 홀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感古堂 仁顯王后의 私家서 閔致祿의 所有였으며, 英祖 가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고 實錄에 記錄되어 있다.

 

중문채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중문채는 中間階層인 청지기등이 居處하였던 곳이다. 또한 쌀, 김치, 장작등을 保管하는 空間으로도 活用되었다. 안채의 附屬建物이라 할수있고 안채와 사랑채 中間에 자리잡고 있어 女性의 居住 空間인 안채를 保護하고 防禦하는 機能을 하였다.

 

 

'歷 史 旅 行 1 > 王&妃生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盧泰愚生家  (0) 2014.08.11
盧武鉉生家  (0) 2011.09.23
尹潽善生家  (0) 2010.11.04
陸英修生家  (0) 2010.06.25
高宗生家  (0) 201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