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宗敎施設 (寺)

楞伽山來蘇寺

(楞伽山來蘇寺)

 

 

楞伽山  觀音峯 기슭에 位置한 來蘇寺는 百濟武王 34년 (633)에 혜구두타 스님이 이곳에 절 을세워 素來寺라 하였는데 創建당시에는 大素來寺 小素來寺가 있었으나 大素來寺는 燒失되었고 지금의 來蘇寺는 小素來寺가 남아 傳하는 것이라고 한다. 現存寺刹은 朝鮮祖 仁祖 11년 (1633)에 청민先師에 의하여 重建 되었으며 高宗 2년 (1865년)에 관해先師에 의하여 重修되었고 그後 만허先師가 保手 하였다. 當初의 素來寺를 來蘇寺로 부르게된 緣由는 알수없으나 壬辰倭亂을 前後해서 來蘇寺로 불러온것으로 推定된다. 本 寺刹에는 寶物 291호 大雄寶殿 寶物 277호 高麗銅鍾이 있고 寶物 278호 法華經折本査本은 全州市立博物館에 委託保管 되어있다.

 

일주문

(一柱門)

 

일주문(一柱門)은 寺刹로 들어가는 첫 번째 關門이다. 원래 지붕을 가진 一般的인 建築物이라고 하면 四方에 네 개의 기둥을 두어 지붕의 하중을 支撑해야 하는 것이 常識이다. 하지만 一柱門은 한 줄로 나란한 두개의 기둥만으로 지붕을 지탱하며 서 있는 建築物이다. 一柱門이란 名稱은 바로 이런 建築的인 特徵에서 붙여지게 된 것이다. 佛敎에서는 이러한 모습에 비추어 일심(一心)이라는 意味를 附與한다. 즉 神聖한 寺刹에 들어서기 前에 흐트러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眞理의 世界로 向하라는 象徵的인 意味가 담겨 있는 것이다. 一柱門의 瓊脂는 아직 무언가를 깨달았다고는 할 수 없는 位置이다. 다만 斷乎한 決心과 實踐 意志를 보이면서 求道者로서의 길을 始作하는 段階일 뿐이다. 그러나 分明한 것은 一柱門을 基準으로 衆生이 사는 世上인 세간(世間), 그리고 속계(俗界)와 生死 煩惱에서 解脫한 깨달음의 世界인 출세간(出世間), 즉 진계(眞界)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

 

전나무숲길

 

一柱門에서 天王門까지 이어지는 600 m 전나무숲길에서 森林浴의 상괘함을 느낄수 있읍니다.

 

느티나무

 

來蘇寺 느티나무 입니다. 壽齡은 약 1.000년 程度라 합니다. 保護樹로 指定 保護하고 있읍니다. 오래살고 가지를 많이 뻗어 쉄터를 充分히 마련해 주기 때문이죠 나무는 결이 곱고 황갈색의 색갈에 약간 윤이 나며 썩거나 벌레가 먹는일이 적은데다 무늬도 아름답습니다. 갈라지거나 비틀림이 적고 마찰이나 衝擊에 强하며 단단하기까지 하여 나무가 갖추어야 할모든 長點을 다 가지고 있읍니다. 나무의 皇帝라 할수 있지요.

 

고려동종

(高麗銅鐘)

 

이 鐘은 원래 內變山에 있는 청림사 (靑林寺)에서 高麗 高宗 9년 (1222)에 만든것으로 朝鮮哲宗 元年 (1850)에 이곳으로 옮겼다. 典型的인 高麗後期의 鐘 으로 높이는 1.03 m, 직경은 67 cm, 무게는 420 kg 이다. 鐘을 매다는 고리에는 龍을 새겼고 鐘 가운데에 세분의 佛像을 彫刻하였다. 가운데 本尊佛은 연꽃위에 앉아 있고 左右 夾侍像은 서 있는 모습이다. 鐘의 윗부분과 아랫 부분에는 華櫚한 植物紋樣을 새겼으며 해바라기처럼 뾰족한 끝을 가진 연꽃 무늬가 鐘을 때리는 자리 (당좌)이다. 表面의 描寫手法이 正敎하고 事實的인 이 鐘은 統一新羅時代의 型式을 充實히 따르면서 高麗時代 梵鍾의 特徵이 잘드러나있는 作品이다. 

 

봉래루

(蓬來樓)

 

대웅보전

(大雄寶殿)

 

大雄殿은 阿彌陀如來를 中心으로 右側에 大勢至菩薩님 左側에 觀世音菩薩님을 모신 來蘇寺의 本殿이다. 朝鮮後期에 建立하였으며 철못을 쓰지않고 나무만으로 지었다. 천장의 華櫚한 粧飾과 연꽃과 국화꽃을 가득 수놓아 화사한 꽃반을 생각나게 한 문살이 印象的이다. 그러나 이 문살은 法堂안에서 보면 斷定한 마름모꼴 살 그림자만 비출뿐이다. 大雄殿은 華櫚하지만 시끄럽지 않은 그리고 莊重함보다는 多情함을 느끼게 하는 建物이다. 佛像뒤벽에 그린 觀音普薩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것이라고 한다. 寶物제 291호.

 

관세음보살상

(觀世音寶薩像)

 

世上의 모든 衆生이 解脫할 때까지 成佛하지 않겠다는 菩薩의 서원(誓願)을 가장 잘 보여준다. 佛敎의 여러 菩薩들 가운데 一般人들에게 가장 親熟하며, 팔리어慶典을 신행(信行)의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大乘佛敎의 菩薩 槪念을 받아들이지 않는 상좌부(上座部)佛敎에서조차 崇拜할 만큼 모든 佛敎勸에서 가장 널리 崇仰받고 있다. 그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化神으로서 이 世上에 나타나며, 이 때문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에는 阿彌陀佛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는 釋迦牟尼佛의 入籍 以後부터 未來佛인 彌勒佛이 나타날 때까지, 난파, 火災, 暗殺, 도둑, 사나운 짐승들에 의한 被害 등으로부터 世上을 지켜주며, 救濟할 衆生의 근기(根機:精神的 수준)에 맞추어 33가지의 몸으로 世上에 나타난다.
 

涅槃解脫

 

佛敎의
窮極的 理想은
涅槃과 解脫입니다.
涅槃이라는 말은 完全한 幸福을 말하고,
解脫이라는 말은 完全한 自由를 말합니다.
그래서 오늘보다는 來日이, 來日보다는 모레가
한발 더 自由롭고 幸福한 쪽으로
갈 수 있도록 살아야 합니다.
그렇게 사는 것이
곧 修行입니다.

 

꽃문살

 

연꽃과 국화꽃을 가득 수놓아 화사한 꽃반을 생각나게 한 문살이 印象的이다. 그러나 이 문살은 法堂안에서 보면 斷定한 마름모꼴 살 그림자만 비출뿐이다.  보물 291호.

 

삼층석탑

(三層石塔)

 

이 塔은 高麗時代에 만든것이나 新羅 搭의 樣式을 따르고 있으며 높이는 3.46 m 이다. 맨 아래의 받침대는 하나의 돌을 利用한 것이다. 몸체도 충마다 하나의 돌을 使用하였으며 각면 마다 기둥을 새겼다. 몸체와 지붕돌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크기와 높이가 급격하게 줄었으며 지붕돌의 경사도 심한편 으로 날렵한 느낌을 주는 塔이다.

  

범종각

(梵鐘閣)

 

범종각 (梵鐘閣)은 梵鍾,法鼓,木魚,雲版등 佛敎儀式에 使用하는 事物을 保管하는 곳이다. 梵鍾은 地獄에서 온갖 苦痛을 받고 있는 衆生들 에게 부처님의 法音을 들려주기 위하여 하루중 인시,오시.술시등 모두세번을 친다. 莊嚴하게 울리는 梵鍾 소리를 들음으로서 地獄,衆生들은 누대 겁에 걸쳐 알게 모르게 지은 惡業을 깊이 뉘우치고 淸淨하고 純潔한 本來 自身의 마음으로 菩提心을 發하게 되는것이다.

 

설선당과요사

(說禪堂과寮舍)

 

이 建物은 朝鮮仁祖 18년 (1840)에 청영 (淸映)스님이 지은것으로 說禪堂은 스님과 信徒들의 修行場所이며 寮舍는 스님들이 居處하는 집이다. 두 建物이 서로 ㅁ 형으로 連結되어 있는 특이한 構造다. 建物 가운데에는 마루와 우물을 設置하였다. 說禪堂 東쪽 한 칸은 마루이고 남쪽 2칸은 부엌으로 아궁이 施設이 되어있다. 寮舍는 2층으로 一層은 僧房과 食堂으로 使用하였으며 이층은 各種 穀物을 貯藏할수 있도록 바닥을 나무로 하였고 壁面에 여러개의 창을 設置하여 換氣에 좋게 하였다. 

 

영산회괘불탱

(靈山會掛佛幀)

 

이 掛佛幀畵는 釋迦牟尼佛을 中心으로 左右에 四分의 菩薩과 多寶如來 阿彌陀如來 등을 그린 석가칠존도 (釋迦七尊圖)형식의 靈山會相圖이다. 朝鮮肅宗 26년 (1700)에 만들었으며 크기는 가로 9.95 m 폭 9.35 m 이다. 菩薩들의 둥굴고 밝은 표정에서 포근함을 느끼게 하는 그림이다. 채색이 다른 掛佛幀畵와는 달리 중간색을 사용한 점이 특이하다. 부처뒤 큰원은 부처의 光明을 象徵하는 光背를 나타낸 것이다. 掛佛이란 野外에서 큰 法會나 佛敎行事를 할때 걸어두는 그림으로 法會의 性格 意識의 種類 등에따라 맞는 것을 奉安한다. 이 靈山會相圖는 長壽와 極樂淨土를 祈願하는 영산재 (靈山齋)에서 使用하던것이다. 佛像뒤벽에 그린 觀音普薩像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것이라고 한다.

 

'歷 史 旅 行 2 > 宗敎施設 (寺)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白山喜方寺  (0) 2010.08.08
盤若山灌燭寺  (0) 2010.07.19
母岳山金山寺  (0) 2010.07.18
漢美山興國寺  (0) 2010.06.21
三角山津寬寺  (0) 201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