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歷 史 物

百濟文化團地 (泗沘宮)

(百濟文化團地)

(泗沘宮)

 

 

百濟文化團地는 燦爛했던 百濟歷史 文化의 優秀成을 世界에 알리고자 1994 ~  2010 年 까지의 총 17 年間의 歷史的인 大長程 끝에 忠淸南道 夫餘郡 규암면 합정리 일원 3,276 천㎡ 에 6,904 億원을 投資하여 百濟王宮인 泗沘宮과 代表的 寺刹인 陵寺 階層別 主居文化를 보여주는 生活文化마을과 開國初期 宮城인 慰禮城 墓祭를 보여주고 있다. 古墳公園,忠南道民의 寄贈으로 造成된 百濟숲 百濟의 歷史와 文化를 한눈에 볼수있는 볼수있는 百濟歷史文化館등, 1,400 年前 文化大國 이었던 百濟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忠南百濟文化團地管理事業所 案內文)

 

 

 

정양문

(正陽門)

 

正陽門은 百濟文化團地 泗沘城의 正門이다. 이 門을 正陽門이라 한것은 해가 가장 높이 떠 온 世上을 밝고 환하게 비추는 때로서 모든氣運이 가장 旺盛한 때를 가르키는 正陽을 아르는 말이다. 이 말의 由來는 가장 强盛했던 百濟를 이루었던 近肖古王 (346 ~ 375)이 日本의 王에게 하사한 것으로 傳해지는 七支刀라고하는 칼에 새겨진 名文에서 認用된 것이다. 建物은 2 層 規模로 入口의 象徵性을 가지고 있으며 百濟 固有의 建築樣式으로 기둥 上部에 45 도로 경사진 副材가 建物을 雄將하게 해주는 下揚式 構造로써 木材 또한 끼우고 맞춤에 의한 方法으로 組立된 傳統技法으로 建築 하였다.

 

 

천정문

(天政門)

 

宮闕의 가장 中心 空間인 正殿의 出入門으로 天政殿의 南門을 뜻하여 天政門이라 하였다.

 

 

천정전

(天政殿)

 

國家의 큰 政事를 하늘에 告하여 決定한 政事菴에서 유래한 天政臺에서 이름을 따왔다. 天政殿은 泗沘宮의 가장 中心공間으로 王의 卽位義禮 新年行事를 비롯한 各種 國家意式이 擧行되고 外國使臣을 맞이하는 등 王宮內 가장 重要한 建物 이다.

 

 

어좌

(御座)

 

王과王妃의 衣服.粧飾物.신발

 

5층목탑

(五層木塔)

 

木塔 三焦書에서 國寶 288호인 昌王銘石造舍利龕이 發見되어 西紀 567 年 舍利를 奉安하고 塔을 세웠다는 事實을 알수있다. 塔은 부처님의 舍利를 모시던곳 이다. 國內에서 最初로 再現된 百濟時代 木塔으로 그 높이가 38 M 에 달한다.

 

 

삼존불

(三尊佛)

 

석가여래불좌상

(釋迦如來佛坐像)

 

大雄殿의 釋迦如來는 법화경(法華經)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주존불(主尊佛)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단편견(右袒偏肩)에 結跏趺坐를 하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決하고 있다. 후불탱화(後佛幀畵)는 毘盧遮那後佛華로, 삼신불(三身佛)의 주존(主尊)인 毘盧遮那佛은 양 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을 입고, 부처와 衆生이 하나라는 意味의 손 模樣인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다.

 

미륵보살상

(彌勒菩薩像)

 

大雄殿의 彌勒菩薩은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한 분으로 釋迦如來의 왼쪽에서 협시(挾侍)를 하고 있다. 彌勒菩薩은 釋迦如來에게 장차 未來에 부처님이 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菩薩로 미래불(未來佛)을 菩薩形으로 表現한 것으로 손 模樣은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결하고 있다. 후불탱화(後佛幀畵)는 毘盧遮那後佛華로, 毘盧遮那佛처럼 통견(通肩)을 입은 盧舍那佛은 양손을 위로 한 說法하는 모습의 손 模樣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제화갈라보살상

(提華褐羅菩薩像)

 

大雄殿의 提華褐羅菩薩은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한 분으로 釋迦如來의 오른쪽에서 협시(挾侍)를 하고 있다. 釋迦如來가 과거 범지(梵志)로 있을때 머리카락을 깔아 정광불(定光佛)을 지나가게 한 功德으로 부처가 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는데 製靴갈라는 과거불(過去佛)의 代表人 정광보살로 表現된 경우로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결하고 있다.

 

 

대통문

(大通門)

 

뜻이 크게 通 한다는 意味로 法華經의 意味를 담았으며 寺刹의 出入門으로써 이곳을 찾는 모든 사람의 뜻이 바라는 바와같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念願을 담았다.

 

 

대웅전

(大雄殿)

 

寺刹에서 佛像을 모시던 空間으로 外部는 中層이고 內部는 通層 이다. 禮佛空間으로 使用하였으며 三尊佛이 모셔져 있다. 

 

 

금강역사

(金剛力士)

 

金剛神,金剛手라고도 하며 大僧佛敎 神話中에서 장차 붓다가 될 普薩 가운데 하나이며 阿閦佛의 顯現이다. 산스크리트로는 번갯불을 가지고다니는자를 意味하며 半身은 사람이고 半身은 뱀인것으로 龍神을 保護하는자로 傳說的으로 金剛力士의 敵 이라고 알려진 매 모습을 한 가루다를 속이기 위하여 새의 모습으로 가장한다고 믿어지기도 한다,  雨를 調節하는 龍神과 힌두교의 우신인 인드라와 關聯이 있기 때문에 가뭄이 들었을때에는 金剛力士에게 祈願 한다. 

 

 

향로각

(香爐閣)

 

 香爐閣은 木造建物로서 重要無形文化材 第 74 號인 大木匠이 丹靑을 重要無形文化材 第 48 號인 丹靑匠이 기와는 重要無形文化材 第121 號인 飜瓦匠  重要無形文化材 106 號인 刻字匠이 參與하여 建築한 建物이다. 國寶 第 287 號인 百濟金銅大香爐가 發窟된 建物로써 이를 기리기 위하여 香爐閣이라 하였다.

 

 

자효당

(慈孝堂)

 

大衆에게 佛法을 說法하던 空間으로 威德王의 聖王에 대한 孝心을 기리는 意味를 담고 있다.

 

 

부용각

(芙蓉閣)

 

陵寺 東部束채로 새로운 世上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念願하는 蓮花化生의 意味를 담았다. 

 

 

문사전

(文思殿)

 

東宮에서 가장 中心的인 空間으로 王이 平所 文官에 관한 執務를 보는 空間이다. 文思殿의 文은 東쪽을 意味 한다.

 

 

연영전

(延英殿)

 

臣下들의 執務空間으로 天下의 人材들을 맞이한다는 뜻이다. 많은 白性들의 太平成大를 위한 政事를 펼쳐야 함을 意味한다.

 

 

무덕전

(武德殿)

 

西宮에서 가장 中心的인 空間으로 王이 平所 武官에 관한 業務를 보는 空間이다. 武德殿의 武 그 어느쪽에도 치우치지않고 文武를 兼用하겠다는 百濟의 統治 精神을 담았다.

 

 

능사

(陵寺)

 

百濟의 寺刹 陵寺는 上王의 冥福을 빌기위한 百濟 王室 寺刹로 夫餘郡夫餘邑 陵山里에서 發窟된 遺構의 規模와 同一하게 建物사이 間隔 기둥과 기둥사이의 間隔등을 1대1로 再現하였다. 陵寺는 發窟調査 結果 中門 - 塔 -  金堂 - 講堂이 一直線으로 配置된 百濟時代 代表的인 伽藍形式으로 確認 되었다.

 

 

 

'歷 史 旅 行 2 > 歷 史 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雲峴宮(高宗.明成后家禮)2015  (0) 2015.04.22
서 울 (崇禮門)  (0) 2013.07.05
國立서울顯忠院  (0) 2012.06.26
禮山 (秋史金正喜故宅)  (0) 2012.03.28
統營 (洗兵館)  (0) 201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