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國內博物館

南楊州歷史博物館

(南楊州歷史博物館)

 

 

 

南楊州歷史博物館은 中央線 八堂驛 바로옆에 位置하고 있으며 南楊州市의 歷史 展示物과 歷史體驗館을 運用하고 있다. 茶山의고장 南楊州는 茶山의 後裔들을 위하여 水準 높은 體驗 敎育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우리것을 눈으로,손으로 體驗하는 즐거움을 膳賜하고 있다. 

 

 

 

 

동문선

(東文選)

 

東文選은 우리나라 歷代 詩를모아 編纂한 詩文集이다. 총 130권 중 19권에 世祖의 죽음을 哀悼하며 지은 廣陵萬障 이 실려있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明成皇后의 葬禮에 관해 記錄된 儀軌 國葬都監儀軌는 朝鮮時代 王과 王妃의 葬禮에 관해 記錄한 冊으로 葬禮의 總括機關인 國葬都監에서 編纂한다,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

(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高宗의 國喪 節次와 陵의 造成을 擔當한 山陵都監에서 이와 關聯한 節次와 日程을 記錄한 儀軌이다.

 

 

세조가쓴글

(世祖御筆石刻)

 

朝鮮歷代 임금의 글씨가 새겨진 御筆石刻에 受祿된 世祖의 글씨로 孝經의 一部가 楷書로 쓰여 있다.

 

 

경세유표

(經世遺表)

 

經世遺表는 官職體制의 改編을 비롯한 人才燈用 土地制度, 租稅制度 등의 改革 內容과 原理를 提示한 冊이다.

 

 

흠흠신서

(欽欽新書)

 

丁若鏞이 지은 冊으로 法律과 犯罪 刑罰에 관한 冊으로 法의 執行중 억울하게 罰을 받는 百姓을 살피기 위하여 著述하였다.

 

 

매화병제도

(梅花屛題圖)

 

丁若鏞이 그린 그림으로 시집간 딸에게 보낸그림 梅花나무 위에 앉아있는 두마리의 새를 그리고 아래쪽에 時文을 적어놓았다. 詩에는 딸을 향한 아버지의 애잔한 마음이 담겨있다.

 

 

우경산수도

(雨景山水圖)

 

丁若鏞이 그린 그림으로 작은亭子와 짙은 안개,江을 노니는 배와 멀리 보이는 山 등을 通하여 世上과 斷切된 茶山의 心情을 表現한 그림으로 解釋된다.

 

 

산수도

(山水圖)

 

丁若鏞이 그린 그림으로 두개의 커다란 岩壁을 左右로 配置시키고 그 사이에 몇 채의 작은 집을 그려 넣은 보그드문 構圖의 作品이다. 

 

 

미호집

(渼湖集)

 

金元行 (1702 ~ 1772)은 金尙憲과 金昌協의 後孫으로 朝鮮後期 沈滯되었던 石室書院을 復興시킨 人物이다.

 

 

청음집

(淸陰集)

 

金尙憲 (1570 ~ 1652)의 文集으로 그는 丙子胡亂때 靑을 排斥한 人物이다. 石室書院 은 金尙容과 金尙憲을 기리기 위해 建立되었다.

 

 

농암집

(農巖集)

 

金昌協 (1651 ~ 1708)은 朝鮮中期 文臣으로 金昌翕과 함께 後代 石室書院 學派의 形成에 크게 寄與한 人物이다.

 

 

편지

 

宋時烈이 쓴 便紙에는 石室로부터 答狀을 받아 그리운 마음이 위로된다는 內容이 실려 있다. 宋時烈과 石室과의 人煙을 알수있다.

 

 

고산유고

(孤山遺稿)

 

尹善道 (1587 ~ 1671)의 詩文集으로 그가 南楊州에 寄居할때 作成한 夢天謠三章이 收錄되어 있다.

 

 

삼주삼산각

(三洲三山閣)

 

경교명승첩 (京郊名勝帖)에 收錄된 그림으로 정선의 스승인 農巖 金昌協이 살았던 미음촌을 그린 그림이다.

 

 

사가집

(四佳集)

 

徐居正 (1420 ~ 1488)의 詩文集으로 南楊州 水鐘寺 및 佛巖寺와 관련된 詩가 收錄되어 있다.

 

 

동계유고

(東溪遺稿)

 

이영보 (1687 ~ 1747)의 詩文集으로 南楊州 美好의 八景을 꼽아 아름다움을 노래한 詩가 收錄되어 있다.

 

 

산대놀이

 

南楊州市 退溪院은 朝鮮時代 江原道와 咸鏡道에서 온 行人들이 漢陽의 東大門으로 들어가는 直通路였고 漢陽으로 供給되는 숯,장작,建築材,穀食,채소,등이 이곳을 거쳐갔다. 따라서 退溪院은 宿泊施設과 飮食店등 商店들이 王肅川을 끼고 즐비하게 자리 잡았으며 牛市場이 繁盛하였다.  이와같이 交通의 要衝地며 物貨가 繁盛한 市場터였던 退溪院은 假面劇의 發達地가 갖는 利點을 지니고 있었다. 

 

 

서전

(書傳)

 

朱熹의 弟子인 채침(蔡沈)이 書經 의 뜻을 풀이하여 쓴 冊

 

가락바퀴

 

纖維를 꼬아 실을 뽑을때 使用하는 道具

 

 

갈돌

(石棒)

 

 

시고.문고

(詩稿,文稿)

 

손와공 최석항의 詩文集으로 以後 손와유고(損窩遺稿)에 收錄 되었다.

 

 

호패

(號牌)

 

최석항의 出生年度와 科擧 合格年度 (庚申 1680년)가 적혀있는 身分證

 

광다회

(廣多繪)

 

文武官의 衣服에 띠로 使用한 끈

 

 

애감록

(哀感錄)

 

최상옥의 葬禮式에 찿아온 사람들의 名單이다. 5월 28일부터 6일동안 記錄되었으며 弔文하는 便紙를 보낸 사람들의 名單이 함께 들어있다.

 

 

상도면판곡리위토전결이정성책

(上道面板谷里位土田結이正成冊)

 

全州崔氏 집안의 위토 즉 門中의 祭祀나 이와 關聯된 費用의 充當을 위해 마련한 土地에 대한 帳簿이다.

 

 

택일기

 

최성옥이 死亡한뒤 墓의 場所와 葬禮의 日程을 記錄한 文書로 옛葬禮 風習을 알수있는 資料이다.

 

 

미금판곡면호리추수책

(渼金板谷面好滿里秋收冊)

 

崔氏宅에서 가을에 周邊사람들에게 穀食을 빌려주거나 以後에 利子로 거둔 穀食을 記錄한 文書이다.

 

 

석실서원묘정비

(石室書院廟庭碑)

 

石室書院은 靑에 對抗하였던 靑을 金尙憲의 崇高한 뜻과 精神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졌다. 碑文은 宋時烈이 짓고 김수중이 썼다.

 

 

벽돌                           청동그릇

 

글씨가 새겨진 벽돌 高句麗 時代 글자가 새겨진 靑銅 그릇

 

 

수막새연꽃무늬

(圓瓦當蓮花文)

 

高句麗 時代

 

 

부처

(金銅佛立像)

 

高句麗 時代 (539년)연가 칠년 (延嘉七年)이 새겨진 金銅佛 立像

 

 

청동북

봉업사 (奉業寺)가 새겨진 靑銅북

 

찻그릇

부 가세겨진 阿且山城에서 出投된 新羅 7세기때 찻그릇

 

 

찻그릇

정 이새겨진 이성山城에서 出土된 찻그릇

 

수막새에 새겨진희자문

 

즐거움을 象徵하는 희(喜)는 夫婦의 기쁨을 意味하는 쌍 희 (喜喜) 로도 表現한다

 

 

토우

 

人間과 가장 가까운 自然의 하나인 흙 은 우리의 삶의 源泉이자 一部였읍니다. 이러한 흙은 多樣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남아 있읍니다. 옛부터 우리先祖들은 흙으로 그들의 삶을  보여주고 생각을 傳達해 주었는데 그 중하나가 바로 土偶 입니다. 土偶에 담겨진 사람들의 思考와 生活方式을 通해 우리는 先祖들의 삶을 斟酌 합니다,

 

 

껴묻거리

(副葬品)

 

朝鮮時代 무덤안에 같이 묻었던 副葬品

 

 

술잔

 

마을의 安寧을 祈願하는 祭祀를 지낼때는 술잔에 술을따라 올리기도 하였다.

 

 

족두리

 

女性들이 禮服을 갖추어 입을때 머리에 쓰던 粧飾用 쓰개로 婚禮用은 주로 七寶粧飾을 하여 華櫚하게 만들었다.

 

 

추석

 

한가위라고도 부르는 秋夕은 收穫의 季節을 맞이하여 豊年을 祝賀하고 感謝하는 날 입니다. 햇穀食으로 飮食을 만들고 송편을 빛어 祖上님께 茶禮를 지내고 省墓하였읍니다. 마을에서는 강강술래,줄다리기,씨름등의 놀이를 하였읍니다.

 

 

  도투락댕기

 

婚禮시 족두리나 머리핀을 꼿을때 쪽진머리 뒤에 붙인 粧飾으로 使用되었다.

 

 

 

'歷 史 旅 行 2 > 國內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韓民國歷史博物館  (0) 2014.05.28
江華歷史博物館  (0) 2013.05.19
實學博物館  (0) 2011.12.07
江陵市立博物館  (0) 2011.09.02
鄕土民俗館  (0) 201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