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 史 旅 行 2/宗敎施設 (寺)

蓮華山玉泉寺

(蓮華山玉泉寺)

 

 

연화산(蓮華山)玉泉寺는 義湘大師가 당(唐)나라 지엄법사 (智儼法師)에게서 華嚴學을 工夫하고 돌아와 華嚴을 講論하기위해 670년(新羅文武王10)에 創建한 절이다. 절의 이름은 大雄殿 左側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 (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由來하였다. 지금은 비록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이지만 당시에는 화엄종찰(華嚴宗刹)로 指定된 華嚴 10대 寺刹 중에 하나였다.

 

 

 

천왕문

(天王門)

 

寺刹의 門. 一周門 다음에 있다. 一周門을 지나 깨달음을 渴求하며 길을 가는 求道者에게 다다라야할 부처의 世界는 눈에 아직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끊임없이 가야할 길만이 앞에 놓인 狀況 앞에서 求道者들은 쉽게 葛藤을 겪게 될 것이다. 이쯤에서 눈에 보이는 것이 천왕문(天王門)이다. 天王門에 있는 四天王은 이곳에서 求道者들을 맞이한다. 이들은 그 길을 지키면서 힘겨워하는 衆生들에게 다시 한번 精進을 위한 覺性의 繼起를 마련해 주고 마음 속에 아직 남아있는 煩惱를 떨쳐내도록 무서운 모습을 하고 서 있는 것이다. 그들은 또한 淸淨道場인 寺刹을 잡스런 것들이 接近하지 못하도록 막고 神性한 佛法을 지키는 役割을 擔當하기도 한다.

 

 

사대천왕

(四大天王)

 

天王門은 金剛力士와 더불어 佛法을 守護하는 외호신(外護神)인 四天王을 모신 全閣이다. 外護神이란 佛國淨土의 外廓을 맡아 지키는 神이라는 뜻이며, 東, 西, 南, 北의 네 곳을 지키게 된다. 이를 사대천왕(四大天王), 사왕(四王), 호세사왕(護世四王)이라고도 한다. 金剛力士가 守護의 意味를 가진다면 四天王은 여기에 더하여 人間을 보살피고 萬物을 小生시키며 福樂을 나누어주는 役割까지 擔當한다. 方位에 따라 靑, 白, 赤, 黑의 얼굴색을 가지고 있는 四天王은 佛敎에서 말하는 서른 세 개의 하늘 중 欲界 여섯 번째 하늘의 첫 번째인 사천왕천(四天王天)의 支配者이다.

 

 

하마비

(下馬碑)

 

身分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

 

 

자방루

(滋芳樓)

有形文化財 53호

 

이곳의 滋芳樓는 巨大한 城砦처럼 全外廓을 둘러쌓아 中心 領域인 大雄殿을 가리고 있다. 이런 類型은 産地에 큰 뜰을 갖춘 절에서 흔이 볼수있지만 滋芳樓는 그 크기와 形態에서 타의 追從을 不許한다. 滋芳樓는 정면 7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 지붕의 建物이다. 또 기둥사이를 모두 두터운 門으로 막고 오직 앞마당과 면하는 前面만을 開方하여 큰 城砦를 방불케한다. 滋芳樓’는 朝鮮의 英祖 때 뇌원대사(雷遠大師)가 創建하여 法會를 여는 場所였다고 했다. 그런데 이 이름은 ‘꽃다운 香氣가 점점 불어난다’는 意味라고 하는데, 結局은 佛道를 닦는 樓閣’인 셈이다. 또한 高麗時代(1252년)에 동(銅)으로 만들어 佛敎儀式에 使用했다는 樂器로서 寶物로 定해진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를 비롯하여 慶尙南道 文化財로 指定된 大雄殿, 滋芳樓, 香爐, 玉泉寺 반종(飯鐘), 三章菩薩道나 地藏菩薩圖.시왕도(十王圖) 등을 保有하고 있다. 

 

 

옥천사

(玉泉寺)

 

연화산(蓮華山)玉泉寺는 義湘大師가 당(唐)나라 지엄법사 (智儼法師)에게서 華嚴學을 工夫하고 돌아와 華嚴을 講論하기위해 670년(新羅文武王10)에 創建한 절이다. 절의 이름은 大雄殿 左側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 (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由來하였다. 지금은 비록 하동 쌍계사(雙磎寺)의 말사(末寺) 이지만 당시에는 화엄종찰(華嚴宗刹)로 指定된 華嚴 10대 寺刹 중에 하나였다.

 

 

대웅전

(大雄殿)

 

玉泉寺 大雄殿은 절의 中心에 있는 法堂으로 釋迦牟尼를 모시는 建物이다. 壬辰倭亂 때 불타 없어진 것을 孝宗 8년(1657)에 龍城和尙이 다시 지었으며, 그 後에 여러 차례의 修理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1층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模樣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粧飾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樣式이다. 內部의 천장은 2단으로 된 우물천장이고, 佛壇이 있으며 그 뒤에는 撑畵가 걸려있다. 大雄殿 앞에는 左右에 幢竿支柱가 있다. 玉泉寺 大雄殿은 朝鮮時代 法堂의 全形을 보여주는 建物이다.

 

 

수기삼존불

(授記三尊佛)

 

석가여래불좌상

(釋迦如來佛坐像)

 

大雄殿의 釋迦如來는 법화경(法華經)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주존불(主尊佛)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단편견(右袒偏肩)에 結跏趺坐를 하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結하고 있다. 후불탱화(後佛幀畵)는 毘盧遮那喉佛畵로, 삼신불(三身佛)의 주존(主尊)인 毘盧遮那佛은 양 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을 입고, 부처와 衆生이 하나라는 意味의 손 模樣인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다.

 

미륵보살상

(彌勒菩薩像)

 

大雄殿의 彌勒菩薩은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한 분으로 釋迦如來의 왼쪽에서 협시(挾侍)를 하고 있다. 彌勒菩薩은 釋迦如來에게 장차 未來에 부처님이 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菩薩로 미래불(未來佛)을 菩薩形으로 表現한 것으로 손 模樣은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結하고 있다. 후불탱화(後佛幀畵)는 盧舍那佛喉佛畵로, 毘盧遮那佛처럼 통견(通肩)을 입은 盧舍那佛은 양손을 위로 한 說法하는 모습의 손 模樣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제화갈라보살상

(提華褐羅菩薩像)

 

大雄殿의 제화갈라보살은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한 분으로 釋迦如來의 오른쪽에서 협시(挾侍)를 하고 있다. 釋迦如來가 과거 범지(梵志)로 있을때 머리카락을 깔아 정광불(定光佛)을 지나가게 한 功德으로 부처가 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는데 제화갈라는 과거불(過去佛)의 대표인 淨光佛이 菩薩로 表現된 경우로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結하고 있다.

 

 

나한전

(羅漢殿)

 

羅漢殿은 大雄殿 左側 築臺 위에 있는 正面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의 翼工系 木造 單層建物로 近來에 새로 重創하였다. 建物은 花崗岩으로 만든 基壇위에 圓形礎石을 두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워 평방 위로 翼工을 얹은 모습으로 建物全面에 2.3분합의 絞殺門이 빗살창무늬로 짜여져 丹粧되었으며 삼면의 벽에는 羅漢圖가 丹靑되어있다. 禮書체로 羅漢殿 懸板은 光緖 10년 (光緖10年; 高宗21년, 1884년)에 노천(老泉)이 썼다는 記錄이 있으며 기둥마다 4기의 柱聯이 있다.

 

 

독성각

(獨聖閣)

 

독성각(獨聖閣)은 홀로 천태산(天台山)에서 修道하면서 부처님이 涅槃하신 후 모든 衆生들을 提導하고자 하는 阿羅漢 나반존자(那畔尊者)를 모시고 있는 전각(殿閣)으로, 우리나라에서는 朝鮮 後期에 산신(山神) 및 칠성(七星)과 함께 삼성각(三聖閣)에 奉安하거나 따로 독성전(獨聖殿)에 奉安하여 信仰하였다. 那畔尊者를 모신 全閣은 독성각(獨聖閣)으로 一般化되어 있다.

 

 

산령각

(山靈閣)

 

山靈閣은 連和山 山神과 시방법계(十方法界)의 山神을 奉安한 全閣인데 山神은 玉泉寺 境內를 守護하고 불법(佛法)과 선행(善行)을 行하는 사람을 守護하는 선신(善神)이다.

 

 

옥천각

(玉泉閣)

 

 절의 이름은 대웅전(大雄殿) 左側에 끊임없이 솟아나는 달고 맛있는 샘 (玉泉)이 있다는 것에서 由來 하였다

 

 

팔상전

(八相殿)

 

八相殿은 석가세존(釋迦世尊)의 일대생애(一代生涯)를 時期的으로 여덟가지로 나누어 그것을 팔폭화면(八幅畵面)으로 그려 모신 전각(殿閣)이다. 二八相殿에는 釋迦牟尼佛을 가운데 주존(主尊)으로 모시고 왼쪽에는 미륵보살(彌勒普薩)바른쪽에는 제화가라보살(提華伽羅普薩)을 모시고 양주변(兩周邊)에 팔상탱화(八相撑畵)를 配列하였다.

 

 

사자견

(獅子犬)

 

玉泉寺에는 여러마리 개가 있는데 이개가 獅子犬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네?

 

 

涅槃解脫

 
불교의
궁극적 이상은
열반과 해탈입니다.
열반이라는 말은 완전한 행복을 말하고,
해탈이라는 말은 완전한 자유를 말합니다.
그래서 오늘보다는 내일이, 내일보다는 모레가
한발 더 자유롭고 행복한 쪽으로
갈 수 있도록 살아야 합니다.
그렇게 사는 것이
곧 수행입니다.

 

 

'歷 史 旅 行 2 > 宗敎施設 (寺)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冠岳山 三幕寺  (0) 2013.03.23
淸溪山 淸溪寺  (0) 2012.05.01
掛榜山燈明洛迦寺  (0) 2011.09.24
靈鷲山通度寺  (0) 2011.09.23
雪嶽山新興寺  (0) 201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