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
(韓國民俗村)
韓國의 民俗的인 삶을 綜合的으로 再現하고 있는 寫實的이고도 興味로운 곳이다. 韓國의 傳統 文化를 보고 體驗해 볼 수 있다.에베랜드와 가까운 곳에 있으며, 韓國人과 外國人 모두에게 有名한 觀光地이다. 울창한 나무들과 맑은 시내가 굽이쳐 흐르는 아늑한 盆地에 朝鮮時代 500년의 生活相을 再現하였다. 그리고 最近 多樣한 캐릭터 아르바이트生을 選拔하여 多樣한 재미를 주고있다. 온라인 화제가된 거지알바,死藥마시기,觀相알바 등이있다. 그리고 韓國民俗村 30만 여평의 부지에 北部地方, 中部地方, 南部地方, 濟州地方, 울릉도 地方까지 各 道의 270여 동의 各種 農家(草家집과 기와집)와 그 生活 樣式, 당시의 館家 등을 비롯하여 대장간, 도요굴, 글방, 떡전, 漢藥房, 觀相所, 99칸짜리 兩班집, 유기공방, 陶瓷器 가마 등의 生産工場, 各種 民俗飮食과 生活用品을 파는 民俗 장터 등 옛 모습을 구경할 수 있으며, 유네스코 人類無形遺産에 選定된 農樂놀이와 傳統婚禮 및 馬上무폐 公演을 볼 수 있다. 놀이東山 및 도깨비 집, 市場, 博物館 등도 있다.
서낭당
(城隍堂)
城隍堂은 마음의 豊饒를 祈願하던 곳으로 地方에 따라 .城隍堂.할미당.천황당.國師堂.으로 불린다. 이러한 城隍堂은 보통 당집, 神樹,돌무더기,선돌(立石)등의 形態로 나타난다. 여기에 있는 城隍堂은 城隍神을 主神으로 모시고 있으며 身體로서 位牌와 神圖를 갖추고 있는 形態 이다. 城隍은 마을에 들어오는 厄. 疾病,災害등을 막아 주는 마을 守護와 祈豊의 機能을 가지고 있으며 마을사람 들은 正初에 財物을 차려놓고 祭祀를 올린다.
효자문
(孝子門)
孝子門은 旌閭 라고도 하며, 孝行이 뛰어난 사람의 業積을 기리기 위해 사람의 通行이 많은 位置에 세웠다. 이 門은 李德圭(1850 ~ 1900)의 孝行을 記念한 旌門으로 1904년에 세워졌다.
제주도 성판악
12월의 시
李海仁
또 한해가 가 버린다고 恨歎하며 우울해 하기 보다는
아직 남아 있는 時間들을 고마워 하는 마음을 지니게 해 주십시오
한 해 동안 받은 友情과 사랑의 膳物들
저를 힘들게 했던 슬픔까지도 善한 마음으로 奉獻 하며
솔방울 그려진 感謝 카드 한장
사랑하는 이들에게 띄우고 싶은 12월
이제 또 살아야지요 해야 할 일들 곧 잘 미루고
작은 約束을 疏忽히 하며
나에게 마음 닫아 걸었던 한 해의 잘못을 뉘우치며
謙遜히 길을 가야 합니다
같은 잘못을 되풀이 하는 제가 올해도 밉지만
後悔는 깊이 하지 않으렵니다
진정 오늘 밖에 없는 것처럼 時間을 아껴 쓰고
모든 이를 容恕 하면 그것 自體가 幸福일텐데
이런 幸福까지도 미루고 사는 저의 어리섞음을 容恕 하십시오
보고 듣고 말 할것 너무 많아 멀미 나는 世上에서
恒常 깨어 살기 쉽지 않지만
눈은 純潔하게 마음은 맑게 지니도록
孤獨해도 빛나는 努力을 繼續하게 해 주십시오
12월엔 묵은 달력을 떼어 내고 새 달력을 準備 하며
조용히 말 하렵니다
가라, 옛날이여' '오라, 새 날이여'
나를 키우는데 모두가 必要한 고마운 時間들이여 ~ ~ !!
중부지방농가
(中部地方農家)
안채와 사랑채를 ㄱ 字形으로 마주 配置한 典型的인 中部地方의 民家이다. 大廳이 넓으면서도 튼 ㅁ 字形으로 配置한 것은 北部地方의 家屋 配置와 南部地方의 家屋構造를 잘 折衝한 것이다. 附屬建物로 行廊채와 방앗간,마굿간등을 고루 갖춘 農家이다. 매우 큰 規模의 초가집으로 선비가 살던 집이다.
북부지방농가
(北部地方農家)
關北地方의 큰 農家形式 이며 空間의 配置가 매우 고르고 規模가 갖추어진 집이다. 큰 부엌의 구들머리인 정주간에 5개의 방들이 안마루 없이 密集兩通 으로 構成되어 冬節期 保溫 爲主로 計劃되어 있다. 規模가 큰 외양간과 방앗간 곳간도 整然하게 配置 되어 있다.
남부지방대가
(南部地方大宅)
이 家屋은 湖南地方의 家屋을 옮겨온 것으로 家屋 全體에 마루와 둿마루,누마루가 고루 配置되어 있어 南部地方 兩班家屋의 特徵이 잘 反映되어 있다. ㄷ 字形의 安채와 ㄱ 字形의 사랑채 一字形 廣채,門間채가 튼 ㅁ 자형(ㄷ 자형)으로 配置된 規模가 큰집이며 아기자기한 空間 構成은 餘裕있는 文化生活의 一面을 보여준자.
남부지방중농가
(南部地方中農家)
典型的인 南部地方의 農家樣式이지만 由來 있는 시골 선비집이다. 안채와 사랑채가 모두 一字形이며 平行으로 配置되어 있다. 사랑채에는 4칸 規模의 큰 大廳과 두개의 큰방을 갖추고 있어 南部地方 家屋의 特徵이 잘 反映되어 있다. 안채에는 찬칸을 別途로 두었으며 祖上의 神位를 모신 龕室이 設置되어 있다.
중부지방민가
(中部地方民家)
中部 內陸地方의 生活과 文化가 잘 反映되어 있는 民家 이다. 안채는 서울을 포함한 中部地方 特由의 ㄱ 字形이나 부엌안에 칸막이를 하여 광을 둔 점이 특이하다. 부엌에 연하여 안방이 2칸 통으로 길게 연한것 또한 서울의 民家와 相通하는 形式이다. 사랑채를 別途로 두지 않고 農器具와 穀物을 保管할수 있는 광을 多樣한 構造로 配置한 典型的인 農家 形式 이다.
남부지방소농가
(南部地方小農家)
南部地方의 家屋을 옮겨온 것으로 두개의 房과 부엌,외양간을 갖춘 작은農家 이다. 안방과 윗방 사이에 마루나 토방이 없는 작은 規模로 이러한 構造는 內陸山間地方에 많이 나타나는데 閉鎖性이 反映되어 있다.
연자방아
(礪子)
연자방아는 家畜의 힘을 利用하여 穀食을 搗精하는 機構로서 農村에서 널리 使用되었다 연자방아의 構造는 둥근 바탕 동위에 숯돌을 세워 家畜이 끌면서 돌아가도록 되어 있으며 암돌과 숫돌 사이에 穀食을 넣고 돌리면 마찰에 의해서 穀食의 껍질이 벗겨진다. 연자방아의 建物은 回轉이 容易 하도록 大部分 原形으로 세운다
완향루
(翫香樓)
翫香樓는 香氣를 즐기는곳 이라는 意味를 가지고 있으며 自然을 벗삼아 悠悠自適한 삶을 즐기려는 先祖들의 風流를 엿볼수 있는 樓閣 이다. 長方形 形態의 單層 樓閣 構造로서 華櫚한 丹靑으로 粧飾되어 있으며 周邊 自然環境과 어울리도록 造苑 하여 아름다운 四季節의 變化를 즐길수 있는 別墅庭園 으로 建築 되었다. 특히 翫香樓의 앞쪽에 자리잡은 方池圓島 構造의 연못은 大自然 일부를 庭園으로 불러들여 風月을 즐기고자 하는 우리나라 傳統 연못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아
(官衙)
官衙는 公廳이라고도 하며 地方行政을 擔當하는 外官職의 政務를 執行하는 機關이다. 地方行政의 單位 部署인 州, 郡, 縣,에는 각기 觀察使, 府使, 郡守, 縣監, 縣令 등 地方長官과 함께 公廳이 있었다. 이곳 官衙는 正門과 外行廊, 中門과 內行廊, 政廳인 東軒, 과 內堂, 그리고 內堂行房 등으로 構成되어 있고 後面에 獄舍 가 附設되어 있다.
동헌
(東軒)
東軒은 地方長官이 公事를 處理하던 公廳으로 官衙의 中心建物 이다. 東軒 에서는 地方長官이 이방,호방,예방,병방,공방등 예하관속을 指揮하여 地方의 行政은 물론 司法까지도 統率 하였다. 業務를 遂行하는 政廳과 左右에 學文修養과 訪問客을 맞이하는 큰 房이 있다.
부근당
(府根堂)
府根堂은 地方長官이 白性들을 위한 圓滑한 政務와 自身의 영달 管內의 太平과 豊作등을 祈願 하는 神堂으로 地方長官이 새로 赴任을 해오면 가장먼저 이 神堂에 들러 參拜를 한다. 府根堂에는 武神으로 昇華된 歷史的 人物이나 三神 將軍像 등을 모시고 있는 巫俗信仰과 結合된 官廳內의 독특한 信仰形態이다. 巫神圖와 男根石 財團이 具備되어 있다.
옥사
(獄舍)
남부지방민가
(南部地方民家)
南部地方에서는 흔치않은 ㄱ 字形 안채와 南部地方 특유의 一 字形 아래채가 混合 構成된 民家 形式 이다. 버들 工藝를 主業으로 하는 집이어서 大廳이 넓고, 工房이나 材料 貯藏庫로 쓸수있는 房이 많다.
점술집
(占術집)
南部地方 民家形式으로 여러 장인들이 모여 살던 거대한 空房村의 家屋이다. 안방과 사랑방 광을겸한 부엌만을 갖춘 規模가 작은 一 字形 構造로 넓은 뒷마루, 넓은 부엌등 南部地方 庶民들의 生活環境이 잘 反映되어 있다. 空房에 從事하던 사람이 살던집으로 規模는 작지만 作業空間과 材料 貯藏을 위한 空間이 잘 配置되어 있다.
너와집
(木瓦屋)
너와로 지붕을 이은 집 이라해서 너와집이라 한다. 이집은 江原道 地方의 너와집을 復元한 것으로 외양간과 부엌.방이 連結되어 있는 構造이다. 부엌에서 나온 煙氣가 板子 로된 天障을 싸 감아서 房의 保溫.防腐 效果를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안 天障은 지네발 서까래를 걸고 黃土를 언져 방안의 保溫을 維持한것이 特徵 이다.
굴피귀틀집
(木屋)
통나무를 丁字形으로 귀를 맞추어 쌓아 올려서 壁을 만들고 그 위에 굴피(나무껍질)로 지붕을 이은 집 이다. 지름 15 cm ~ 20 cm 정도의 통나무를 使用하여 너와 집과 마찬가지로 山間地域에 많이 分布되어 있다. 귀틀집은 豐富한 木材와 빠른 期間內에 튼튼한 집을 지을수 있다는 이점으로 인하여 山間地帶의 火田民들 사이에 오늘날 까지 옛모습 그대로 傳 하여지고 있다.
중부지방양반가
(中部地方兩班家)
99 칸 집이라 부르는 이 家屋은 1861년 (鐵宗12년) 水源,화성내 에 지었던것을 1973年에 原形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솟을大門, 줄행랑, 바깥사랑, 안행랑, 안사랑, 내당, 內 別堂, 큰사랑, 外 別堂, 祠堂,등 儒敎社會에 있어서 큰 집 살림에 必要한 모든 空間이 規模있게 갖추어진 典型的 대가이다. 建物 全體에 마루空間이 많이 配置되어 있으면서도 굴뚝을 建物에서 떨어져 設備하여 暖房의 效率과 함께 造形美를 살린점등 典型的인 中部地方 上流層 家屋의 形式이다.
내당
(內堂)
이곳은 안主人을 비롯한 女子들의 日常生活 空間으로 손님을 맞이하거나 學文修養 및 子女敎育 餘暇生活등을 하는 女子들의 社會文化的 活動이 이뤼지는 곳이다. 中部地方 特有의 ㄱ 字形을 基本으로 안방 뒤편으로 윗방을 달아낸 形態이다. 넓은 대청을 中心으로 큰 안방과 여러개의 윗방, 건넌방이 있고 가장 오른쪽에 부엌을 두었다. 내외분과 中門을 通하지 않고 사랑채로 갈수있는 회알과 뒷마루가 設置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안초당
(內草堂)
內草堂은 結婚하기전 딸들이 居處하는 空間으로 學文을 하거나 書藝,刺繡 등을 하면서 新婦로서 갓춰야할 心身을 修養하는 곳이다. 주로 內堂 後援 조용한곳에 位置하며 大廳과 房으로만 構成된 規模가 작은 建物이다. 모든 建物이 기와 지붕인 반면 이엉으로 되어 있어 草堂이라 한다.
사당
(祠堂)
祠堂은 祖上의 神位를 모셔 놓은 집안에서 가장 神聖스러운 空間으로 位置가 日程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집안의 정침인 안방 後援에 位置한다.
외별당
(外別堂)
別堂은 士大夫 邸宅에서 本 建物과 떨어져 別채로 지어진 建物로 內別堂과 外別堂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內別堂은 할머니나 시집갈 나이가 된 딸의 居處로 안채에 가까운 곳에 지었으며, 外別堂은 一般的으로 大門 밖이나 안 담장 밖에 꾸며져 바깥主人의 休養 및 社交의 場으로 쓰였습니다. 즉, 別堂아씨는 別堂에서 지내는 아씨(아랫사람들이 젊은 부녀자를 높여 이르는 말)를 말하는 것입니다.
서낭당
(城隍堂)
마을의 守護神 役割을 하는 서낭당은 城隍堂 으로도 불리는 神堂 이다. 位置는 대체로 마을 入口나 고개에서 높은곳에 자리 잡으며 形態는 圓錐形의 돌무더기, 마을에서 神聖하게 여기는 神木 등으로 나타난다. 이곳을 지나갈때 돌 세개를 얹고 세번 절한뒤 침을 세번 밷으면 財修가 좋아진다고 俗說이 있다. 神木에 묶어진 오시방천은 東(靑)西(白)南(赤)北(黑)中央(黃)意味하고 있으며 이는 災厄을 對比 하고자 하는 意味 이다.
홍예교
(虹霓橋)
虹霓橋는 구름다리라고도 하고 옛 다리 築造에서 石材를 利用하여 橋脚을 半圓形으로 틀은 正橋한 다리이다. 現存하는 虹霓橋는 寺刹이나 宮闕에 重要한 다리로 남아있고 自然景觀이 좋은곳에 造形美를 아름답게 꾸몄다. 韓國民俗村 虹霓橋의 본 모습은 左側 寫眞과 같으나 安全上의 理由 로 2017년 양쪽에 欄干을 設置 하였다.
물레방아
(水車)
물레방아는 떨어지는 물줄기를 받아 그 힘으로 바퀴를 돌리고 방앗대를 움직여서 穀食을 찧는 裝置이다. 바퀴에 쏟아지는 물이 담기는 주머니가 連續으로 裝置되어 있는 방아를 주머니 물레방아라고 부른다. 바퀴가 돌면 방앗대와 공이의 動作이 自動으로 되기 때문에 사람없이도 찧을수 있다. 물의 낙차의 힘을 利用한 물레방아도 地域에 따라서는 흐르는 물의 流速을 利用한 물레방아도 있다.
돌장승.돌솟대
장승은 마을의 守護神으로 여겨지며 寺刹이나 地域間의 境界標 技能을 가지고 있고 솟대는 神靈과 人間을 媒介하는 役割을 하며 豊要多産과 所願成就를 起源하는 信仰의 對象物 입니다. 이곳 장승 솟대배기에서는 每年 正月대보름과 十月 初하룻날 마을에서 選定한 祭官과 堂主가 中心이되어 風物牌와 함께 豊要와 安寧을 起源하는 大同祭를 지낸후 飮福을 나누어 먹고 飮酒歌舞를 즐겼읍니다.
선비집
(士大夫家)
이 家屋은 典型的인 선비住宅을 再現한 것으로 본채와 門間채 재사, 草堂,祠堂등의 附屬建物을 고루 갖추고 있다. 본채를 ㅁ 字로 지어 바깥쪽은 사랑채로 活用하고 안쪽은 안채로 活用한 構造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住宅의 特徵은 土豪의 住宅처럼 豪華롭거나 벌거롭지 않고 조촐한 편에 속하여 선비들이 精神的, 學究的 生活樣式을 反映한 것이다.
징검다리
징검다리는 얕은 강물, 늪지대에 돌 혹은 흙더미를 드믄드믄 놓아 건너다닐수 있게 한 다리이다. 주로 마을 작은 개울에서 흔하게 볼수 있고 갯벌등에서도 發見된다. 韓國民俗村 징검다리의 본 모습은 左側 寫眞과 같으나 安全上의 理由로 2015년 부터 出入을 禁止 하였다.
안녕히 가십시요.
epilogue
fight·ing,fight·ing f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