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사
(忠烈祠)
朝鮮時代 宣祖의 命에 따라 제7대 통제사 이운룡 (統制使 李雲龍) 이 1606년에 세운것으로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에 忠武公 이순신 (李舜臣)將軍의 祭祀를 올리던 곳이다. 1663년에 顯宗은 홍살문(紅살門)을 다시 세우게 하고 忠烈祠의 이름을 내려 懸板으로 걸게 하였다. 1695년에는 제70대 統制使 최숙(崔숙)이 경충재 (景忠齋)를 세워 祠堂을 열고 忠武公 精神을 繼承하는 人才를 키웠고 1719년에 제92대 統制使 김중기 (金重器)는 숭무당(崇武堂)을 짓고 3명의 將校를 主材시켜 忠武公의 祭祀와 忠烈祠의 管理를 擔當케 하였다. 1795년에는 正祖가 忠武公全書 (忠武公全書)를 發刊하여 여기에 保管케 하였는데 現在까지 傳해지고 있다. 1895년에 統制營이 廢止되자 高場의 維持들이 忠烈祠保存會를 結成하여 忠武公의 祭祀를 모시며 忠烈祠를 管理하고 있다.
강한루
(江漢樓)
강한(江漢)은 중국(中國)호북성(湖北省)의 성도(省都)무한(武漢)에 있는 地名이다. 강한(江漢)은 무한(武漢)을 가로질러 흐르는 장강(長江)과 지류(支流)인 한수(漢水)가 合流하는 地域으로 장강(長江)에서 강(江) 한수(漢水)에서 한(漢) 이두자(字)를 취하여 강한(江漢)이라 부르고 예로부터 열숙이 角逐하던 三國志의 舞臺이며 이름난 경승지(景勝地)이다.
충렬묘비명
(忠烈廟碑銘)
忠武公 李舜臣將軍의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忠武公 위는 宣武功臣 1등, 德風府院君 領議政 이시다. 廟는 祠堂을 碑銘은 碑에 새긴글을 말하는데 忠烈廟碑銘은將軍의 功績을 기리고 後世에 傳하기 위하여 光海君이 백사(白沙) 이항복 (李恒福)에게 命을 내려 글을 짓게하고 뒤에 제60대 統制使 민섬 (閔暹)이 碑와 碑閣을 여기에 세웠다. 우암(尤巖) 송시열 (宋時烈)先生이 글을 쓰고 문곡(文谷)김수항 (金壽恒)이 전서 하였다.
이언상사적비
(李彦祥事跡碑)
李忠武公의 5代孫 (9위)는 嘉善大夫에 이르렀다. 先代 忠武公 李舜臣을 본받아 軍船管理에 치밀하였고 甲兵에 靑敎 하였다. 屯田을 크게 얿혀 군정(軍政)을 두터히 하고 倉庫를 열어 貧民을 救濟하고 百姓에게 德을 끼치는 옛 風俗이 恩筵중에 되살아나게 하였다. 指極히 尊貴 하였으나 軍部改革은 日常事요 淸廉潔白하여 義服은 좋은 갑옷이 두벌이 없고 飮食은 조식(組食)을 마다하지않지 않았다. 威嚴과 恩惠를 같이하여 民心을 크게얻어 後世에 美名을 남겨 軍政의 本이 되었다. 李忠武公 以後 德洙 李氏 統制使가 없더니 여섯분의 統制使가 倍出되었으니 家紋의 中興이 이루어졌다고 하겠다.
덕수이씨후손통제사공적비
(德水李氏後孫統制使功績碑)
제121대 이 태상 (李泰祥) 제138대 이 한창 (李漢昌) 제143대 이 한풍 (李漢豊) 제167대 이 항권(李恒權) 제172대 이 승권 (李升權) 忠武公 李舜臣 初代三道水軍統制使 以後로 赴任한 열두명 後孫 統制使 가운데 위에 적은 다섯분의 功績碑 이다.
동재
(東齋)
헌관 (獻官)과 집사 (執事)들이 享祀를 奉行하기 前에 心身을 정화 (淨化)하고 祭服으로 갈아 입는 곳이다. 제 51대 統制使 김경 (金鏡)이 맞은편의 서재 (西齋)와 동시(1670)에 建立 하였다.
정당
(正堂)
正當은 民族의 守護神 忠武公 李舜臣將軍의 靈名에 戒香을 올리고 功의 精神과 위혼을 만대(萬代)에 기리기 위하여 제 7대 統制使 이운몽이 宣祖의 命을 받아 세웠다. 李忠武公 한분의 僞幣를 모시고 歷代 統制使가 약 300년간 祭香을 받들어 온 가장 神仙한 場所이다.
내삼문
(內三門)
正當의 出入門으로 三門中 가장 안쪽의 門이다. 단아 하면서도 正敎한 建築樣式으로 朝鮮中期 삼문조형 (三門造形)正化 이다. 솟을 三門으로 신문(神門)의 양측 礎石을 海苔로 彫刻하고 안박에 활주(버팀기둥) 8개로 지붕의 무게를 받쳤는데 각 활주 아래의 釋家는 8기 돌기둥 이다.通用門인 양쪽 협문(狹門)을 낮게 만든것은 몸을 낮추고 삼가는 몸가짐으로 出入하기 위함이다. 翼工式 맛배지붕에 겹처마이며 三門의 唱榜 爲를 화반(花盤)으로粧飾 하였고 신문(神門)양쪽의 鳳凰은 蓮花丹靑紋樣 으로 彫刻하여 꾸몄다.
통영충렬사팔사품
(統營忠烈祠八賜品)
八賜品은 中國 明나라의 新種이 忠武公 李舜臣 將軍에게 보내온 8종류의 物品이다. 壬辰倭亂때 朝鮮을 도왔던 明나라 水軍 都督 眞人이 忠武公의 뛰어난 戰略과 빛나는 戰功을 보고하자 感動한 新種이 忠武公에게 指揮官을 象徵하는 8種類의 物品을 特別히 보내 주었다. 八賜品은 임금이 내린 8種類의 物品이란 뜻으로 統制營에 保管되어 오다 1795년에 忠烈祠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도독인
(都督印)
宣祖 31년 (1598) 明나라 신종 (神宗)이 충무공(忠武公)에게 수군도독 (水軍都督 朝-明 聯合銃司令官)을 제수(際授)하면서 이 도독(都督)의 직인(職印)과 모든 의장물(儀丈物)을 보내온 것인데 인문(印文)은 아홉번 꺽어 쓴 전자 (篆子)로 도독(都督)이라고 쓰여있다.
령패
(令牌)
도독 (都督)이 휘하 각 자령(將令)에게 긴급한 군령(軍令)을 전하거나 羅布令을 내릴때 側近의 裨將 에게 이 零敗을 持參시겼던 것으로 앞면에는 令을 새기고 뒷면에는 大長을 새겼다.
참도
(斬刀)
상방검 (尙方劍)으로서 연합함대산하전장병 (聯合艦隊傘下全將兵)을 호령(號令)하고 군법시행시 (軍法施行時)에 지휘도 (指揮刀)로 사용하였다.
귀도
(鬼刀)
都督이 左右에 令嬌 2명이 어깨에 메고 서서 導毒의 身邊을 保護 하였다.
사제문
(賜祭文)
사제(賜祭)란 임금이 죽은 臣下에게 祭祀를 내려주는 것이다. 正祖 19년 (1795) 11월에 忠武公 全書를 펴내면서 忠烈祠에 1점을 奉安하게 하고 統制使 이득제 (제147대)에게 命하여 英祖 八賜品도 함께 場所를 알맛게 陣列하고 술과 고기를 僞幣앞에 모신 다음 鬪具와 갑옷을 입은체로 盞을 올리고 祭祀를 하라하신 正祖임금의 制瀉劑文이다.
독전기
(督戰旗)
敵 과 接戰時에 聯合軍으 督戰하던 기 로서 中央에 비단을 오려 붙인 글자는 범군임적불용명자처참 (凡軍臨敵不用命者處斬) 이라 쓰여 있다.
'O B 旅 行 > 國 內'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統營 (靑馬文學館) (0) | 2009.09.03 |
---|---|
慶州 (大陵苑) (0) | 2009.09.03 |
慶州 (慶州博物館) (0) | 2009.09.03 |
統營 (欲知島) (0) | 2009.09.03 |
慶州 (慶州博物館) (0) | 200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