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江華道)
京畿灣 內의 漢江 河口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5번째,仁川廣域市에서는 第一 큰 섬이다. 江華郡의 中心 섬이며, 周邊에 약 15개의 섬들이 흩어져 있다. 元來는 3개의 섬이었으나, 干潟地가 넓게 퍼지면서 連結된 것이다. 最高峰인 마니산(摩尼山 : 469m)을 비롯하여, 400m 내외의 山이 많으나 險峻하지 않다. 低平한 沖積地가 發達했으며, 南쪽 江華灣으로는 넓은 干潟地가 펼쳐져 있다. 氣候는 大體로 寒暑의 差가 심하며, 비가 많다. 1월 平均氣溫 -4.7℃ 내외, 8월平均氣溫 25℃ 내외, 年江數量 1,143㎜ 程度이다. 같은 緯度의 內陸地方보다는 따뜻하여 暖帶性食物인 탕나무·동백나무 등이 自生한다. 江華邑을 中心으로 道路가 四方으로 나 있으며, 1970년에 강화대교(694m)가 建設되면서 陸地와 連結되어 交通이 더욱 便利해졌다. 특히 곳곳에 歷史的인 遺物·遺跡이 많아 安保·史蹟觀光地로도 손꼽힌다. 面積 293㎢, 海岸線 길이 99km
선사시대
(先史時代, prehistory)
文字記錄이 남겨진 뒤의 時代를 歷史時代로 부르는 데 대한 相對的 意味로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은 1851년 D. 윌슨이 〈고고학과 스코틀랜드의 先史時代 年代記 The Archaeology and Prehistoric Annals of Scotland〉를 쓰면서 처음 使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文字의 發明과 使用은 世界 여러 地域마다 다르고, 아직 文字를 使用하지 않은 地域의 歷史들이 文字使用權에서 記錄되어 남겨진 境遇도 있어 先史時代와 歷史時代를 뚜렷이 區分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그런 境遇에는 原史時代(protohistory)라는 말을 사용하여 先史時代와 歷史時代의 中間段階로 보기도 한다. 先史時代는 記錄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先史時代 硏究는 考古學 發掘에서 나온 遺跡과 遺物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考古學에서는 物質資料에 根據하여 石器時代·靑銅器時代·鐵器時代로 區分하고 있는데 石器時代와 靑銅器時代의 一部가 先史時代에 포함된다. 文字의 發明이 가장 빠른 곳은 西南 아시아의 수메르 文明으로 靑銅器時代에 束한다. 靑銅器時代는 都市化·文明化의 길을 걷기 始作한 때로 先史時代로부터 歷史時代로 넘어가는 過渡期의 兩相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先史時代는 國家 成立 以前의 段階로 볼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古朝鮮 建國 以前을 先史時代로 본다.
강화지석묘
(江華支石墓)
江華郡 하점면 부근리에 있는 靑銅器時代의 北方式古人돌이다. 高麗山 北쪽 峰우리인 시루메산의 稜線끝자락 部分의 稜線 밭 가운데 獨立해서 있는 것으로 京畿道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中部地域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巨大한 北方式(탁자식) 支石墓로 南韓에서는 가장 큰 規模의 支石墓로 알려져 있다. 이 古人돌은 道路에서 약간 떨어진 밭 가운데에 1기가 獨立해 있다. 뚜껑돌[蓋石]은 길이 710cm, 너비 550cm나 되는 巨石이고, 그 밑에 2매의 굄돌이 받치고 있다. 一般的으로 北方式 古人돌의 構造는 4매의 굄돌로 直四角形 돌방[石室]을 構築하고, 그 위에 뚜껑돌을 얹어 놓는 方式을 취하는데, 이 古人돌은 돌방의 짧은 변을 이루는 2장의 굄돌이 없다. 이와 같이 2장의 굄돌이 現在 남아 있지 않는 것은 過去에 破壞되어 없어진 것으로 推定된다.
平地分布形 古人돌로 山의 稜線 下端部에 造成된 평지나 낮은 丘陵上 垈地位에 分布하고 있는데, 代替的으로 해발 20~30m 高度에 造成되어 있다. 이 같은 立地條件은 당시 社會가 農耕地나 물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곳에 그들의 住居 領域을 마련하고 그와 가가운 곳에 墓를 造成한 데에서 비롯된 것일 可能性이 크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古人돌 築造에 必要한 石材 採取와 運搬 등을 考慮하여 山에 引接한 곳을 立志로 選定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丘陵上에 立地한 古人돌은 周邊 平地보다 높은 位置에 古人돌을 築造하려는 義徒가 反映된 것으로도 理解할 수 있다.
고인돌
(支石墓)
흔히 뚜껑 구실을 하는 넓은 덮개돌(蓋石)을 여러 개의 굄돌(支石)이 받치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一種의 무덤방(墓室)으로 꾸민 이 構造物은 유럽 新石器時代에 典型的으로 나타난다. '돌멘'(dolmen)이라는 말의 뿌리는 켈트어이며 브르타뉴어는 아닌 것 같다. 古人돌은 굄돌이 뚜렷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形態로서 韓國·滿洲·日本 등을 비롯하여 유럽, 英國 制度, 北아프리카에 分布한다.
강화고려궁지
(江華高麗宮址)
史蹟 제133호. 蒙古 侵略에 對抗하기 위해 1232년(高宗 19)부터 1270년(元宗 11)까지 39년간 使用했다. 〈고려사절요 高麗史節要〉에 의하면 최우가 1232년 6월 이령군(二領軍)을 動員하여 建立했다고 되어 있으나 實題로는 1234년 本格的인 宮闕과 백사(百司)의 建立이 이루어졌다. 規模는 작았으나 松島의 宮闕과 비슷하게 만들었고 宮闕의 뒷산도 송악(松岳)이라 했다. 高麗宮의 正門은 승평문(昇平門)으로 양쪽에 3층루의 문이 2개 있었고, 궁내에 많은 관아·전각·창고·문이 있었으나 1270년 松島還都 때 모두 허물어졌다.
강화유수부동헌
(江華留守府東軒)
朝鮮時代 官衙의 하나로 江華地方의 中心業務를 보던 東軒이다. 英祖 45년(1769)에 留守 黃景源이 顯允館이라 이름을 붙였으며, 여러 차례 補修해서 本來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앞면 8칸·옆면 3칸의 規模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模樣인 팔작지붕집이다. ‘명위헌(明威軒)’과 ‘이관당(以寬堂)’이라는 懸板은 당시의 名筆이자 學者인 백하 윤순(1680∼1714)이 썼다.
명위헌
(明威軒)
'明威軒'이란 懸板을 붙였다
외규장각
(外奎章閣)
世祖때에 양성지가 임금의 時文을 保管할 奎章閣을 두기를 請 하였으나, 實施 하지는 않았다. 以後 世宗 때에는 작은 全閣을 마련하여 ‘奎章閣’이라 이름하였으나, 職制는 갖추지 않았다. 正祖가 卽位한 뒤 1776년(正祖 1년) 陰曆 9월 25일에 昌德宮 禁苑의 北쪽에 奎章閣을 세우고, 提學·直提學·직각(直閣)·대교(待敎)·검서관(檢書官) 등의 管理를 두었다‘규장’(奎章)은 임금의 時文이나 글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때 奎章閣은 그 이름대로 歷代 王의 글과 冊을 收集 保管하기 위한 王室 圖書館의 役割을 하였다. 正祖는 여기에 秘書室의 技能과 문한(文翰) 技能을 統合的으로 附與하고 科擧試驗의 主管과 文臣 敎育의 任務까지 附與하였다. 奎章閣은 朝鮮 後期의 文運을 불러일으킨 中心機關으로 많은 冊을 編纂했으며, 여기에는 實學者와 庶孼 出身의 學者들도 採用되었다. 甲午改革 때 閉止되었으며, 奎章閣은 1910년 日帝 强占期에 閉止되었다가, 解放 以後에 一部 남아 있는 圖書가 서울大學校 奎章閣(現 서울大學校 奎章閣 韓國學 硏究員)으로 移關되었다.
강화동종
(江華銅鐘)
寶物 제11호. 높이 176㎝, 지름 145㎝, 두께 21㎝. 종신(鐘身)에 있는 명문(銘文)을 通해 1711년(肅宗 37) 鑄造되었음을 알 수 있다. 鐘의 頂上部에 있는 용뉴(龍鈕)에는 雙龍이 彫刻되어 있고, 鐘身을 上下로 區分하는 中央의 횡대(橫帶)는 韓國鐘의 傳統形態에서 벗어난 異例的인 形式이다. 어깨부분에 비스듬히 나온 턱이 있는데 이는 高麗銅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입화형(立花形)의 退化形式인 것 같다. 윗 부분에는 4개의 유곽(乳廓)이 있는데, 寶相當草무늬가 粧飾된 넓은 유곽대(乳廓帶)가 있고 그 안에 연꽃으로 表現한 9개의 유두(乳頭)가 있다. 鐘身에 당좌(撞座)가 없는 점, 어깨부분의 入貨粧飾이 退化한 점, 遊廓이 어깨에서 떨어진 곳에 있는 점, 용뉴에 蔭官이 없는 점 등은 朝鮮 後期 銅鍾의 特徵이다.
강화유수부이방청
(江華留守府吏房廳)
이 建物은 朝鮮 中期에 江華 留守府內 육방(六房)중의 하나인 異邦廳으로 朝鮮 孝宗 5년(1654) 留守 정세규가 建立하여 官衙로 使用하던 것을 正祖 7년(1783)에 留守 김노진이 內部를 改修하고 괘홀당이란 堂號를 揭示하였다. 1945년 解放以後 地方法院(등기소) 事務室로 임시 使用한 的이 있으며, 1977년 江華 重要 國防 遺跡 復原 事業의 一環으로 改修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631년 행궁(行宮)을 高麗 옛 宮터에 建立하면서 장녕전(長寧殿)을 지어 朝鮮 太祖와 世祖의 影幀을 모셨고, 江華留守府 建物들과 奎章外閣을 建立해 많은 藏書와 文書를 保管했다. 그러나 丙寅洋擾 때 프랑스軍이 冊과 書類를 掠奪해갔으며 많은 建物이 불탔다. 지금 高麗宮趾에는 1638년(仁祖 16) 建立된 현윤관(顯允館)이 남아 있는데 1769년 重修하면서 '明威軒'이란 懸板을 붙였다. 1977년 高麗宮趾를 補修하면서 담을 設置하고 高麗宮趾 進入路 옆에 있던 江華銅鐘을 옮기고 境域에 報道를 設置해 境內를 造成했다.
蒙古 의 侵略에 줄기차게 抗戰하던 39년간의 宮闕터로 1232년 6월 高麗 高宗 당시 抗蒙 의 旗幟를 들고 江華에 都邑을 옮긴 후 2년 뒤인1234년에 官衙와 宮闕의 規模가 完城 되었다. 당시 佛敎文化의 正數인 八萬大藏經이 이 곳 江華에서 만들어졌고, 金屬 活字도 開發되었는데, 1270년 5월 蒙古와의 江華가 成立되어 開城으로 還都하면서 城과 宮闕이 무너졌다.
강화평화전망대
(江華平和全望臺)
江華郡 양사면 북성리에 位置한 制赤峰에 있으며 一名 758OP라고 불리는곳이다.江華郡은 北韓의 凱風郡, 鉛白郡에 손만 뻗으면 닿을 만큼 가까운 곳이다. 江華地域 最北端에 位置한 安保觀光地 江華平和展望臺는 왼쪽으로 禮成江, 오른쪽에는 漢江과 臨鎭江이 合流되는 地点에서 南쪽에 位置한 民間人 統制區域에 있으며, 北韓과 最近 接거리는 1.8㎞에 불과해 肉眼으로도 北韓사람들의 日常 生活 모습과 開城工團 탑, 아름다운 松嶽山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最適의 安保觀光地로 꼽히고 있다.
江華郡은 平和展望臺 造成을 위해 2006년 末부터 總 事業費 48억여 원을 投入, 양사면 鐵山里 民統線 北方地域 임야 9,975㎡부지에 지하1층, 지상4층 規模로 平和展望臺를 完工하고 國內·外 모든 觀光客에게 公開했다 江華平和展望臺 出入은 年中 無休이며, 觀覽時間은 여름 午前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겨울 午前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出入 節次는 車輛 내 代表者 1명의 身分證을 군 勤務者에게 確認 後 臨時 出入證을 받아 歸家 時 檢問所에 返納하면 된다.
제적봉
(制赤峰)
제4대 海兵隊司令官은 最初 金浦 愛妓峰을 制赤峰으로 命名하려하였으나 1966 년 故 朴正熙 大統領 께서 兄 愛妓峰 訪問時 愛妓의 傳說을 들으시고 制赤峰 名稱 대신 愛妓峰으로 名銜에 따라 江華島의 現高地를 새로이 制赤峰으로 定하고 1966년 당시 김종필 共和黨 議長이 參席 親筆로 쓴 制赤峰 碑를 建立과 命名式을 擧行 했다 制赤峰은 共産黨을 制壓한다 는 意味로 우리民族의 自由와 人類의 平和를 위하여 共産侵略者들을 무찔러야 한다는 意志가 담겨있다. 海兵隊는 이 峰우리에서 不屈의鬪志와 매서운 눈초리로 敵을 制壓하고 있다.
해병대상륙돌격장갑차
(海兵隊上陸突擊裝甲車)
西部戰線 最前方 死守를 위하여 民.官.軍이 決意를 거쳐굳게 다잠하고 平和統一의 念願이 이루어지도록 祈願하면서 이 裝備는 上陸作戰時 海兵隊를 海上의 艦艇으로부터 敵陣으로 投入할수 있도록 製作된 水陸兩用의 裝備로서 正式名稱은 上陸突擊裝甲車(LVT - P77)이며 1975년 부터 大韓民國 海兵隊 上陸作戰의 核心戰力으로 使用되다 2004년 國産裝備로 對替되었다 製作年度: 1971년 重量 21톤 兵力人員 28명.
平和展望臺의 解說者 細漣되지는 못해지만 地方 마을 이장님 같이 열심히 誠意를 다하여 說明 해주셨읍니다 平和展望臺가 널리 알려져서 觀光客이 넘치고 學生들의 安保體驗敎育이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民統線으로 인하여 制限的이기 때문에 活力 이 없었던 같읍니다 앞으로 마을이 所得도 增大되고 發展도 이루었으면 합니다
망배단
(望拜壇)
失鄕民을 위한 休戰線 北쪽에 故鄕을 가진 失鄕民들이 설날과 秋夕등 家族이 보고싶을때 故鄕과 조금이라도 가까운 이곳에서 以北에 계신 父母,祖上에게 拜禮하는 場所로 失鄕民들이 자주 찾는 곳입니다.
광성보
(廣城堡)
廣城堡는 德津鎭, 初志鎭, 鎔解鎭, 文殊山城 등과 더불어 江華海峽을 지키는 重要한 要塞이다.
안해루
(按海樓)
高麗가 蒙古 侵略에 對抗하기 위하여 江華로 都邑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江華外城을 쌓았는데, 이 城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城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光海君 때 다시 고쳐 쌓은 後 孝宗 9년(1658)에 廣城堡가 처음으로 設置되었다. 肅宗 때 一部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龍頭墩臺, 烏頭墩臺, 化導墩臺, 廣城墩臺 등 所屬 墩臺가 만들어 졌다.
1658년(효종(孝宗)9)에 강화유수(江華留守) 서원리(徐元履)가 새로 만든 것으로, 1679년(숙종(肅宗)5)에 축조된 오두돈대(鰲頭墩臺 : 둘레 80보(步),33첩(堞))·화도돈대(花島墩臺 : 둘레 92보(步), 42첩(堞)·광성돈대(廣城墩臺 : 88보(步), 38첩(堞))를 管轄하였다.
이곳에는 軍船 5척과 別張 아래에 軍官 29인·軍兵 100명·墩軍 18명이 配屬되어 있었다. 1874년에 만든 烏頭程 砲隊를 가지고 있었으며, 1871년 辛未洋擾 때 最大의 激戰地였다. 이해에 通商을 要求하며 侵入한 美國 艦隊가 江華 海峽을 거슬러 올라오는 것을 광성(廣城)·초지(草芝)·덕진(德津)·덕포(德浦)등의 砲隊에서 一齊히 射擊을 가하여 물리쳤으나, 4월 23일에 450명의 美國 海兵隊가 初志鎭에 上陸하여 鎭을 占領하였다.
이 戰鬪에서 朝鮮軍은 劣勢한 武器로 奮戰하다가 中傷으로 기동이 어려운 몇 명을 除外하고는 全員이 殉國하였다. 이 싸움에서 美軍은 맥키 中尉를 危視하여 3명이 戰死하고 10여명이 負傷하였다. 이때 城堞과 門樓가 破壞된것을 1976년에 復元하는 동시에 당시 戰死한 無名勇士들의 무덤과 魚在淵·어재순 兄弟의 쌍충비각(雙忠碑閣)을 補修, 整備하였다. 이곳에는 魚在淵將軍의 戰績碑가 남아 있다.
英祖 21년(1745)에 城을 고쳐 쌓으면서 城門을 만들었는데 ‘按海樓’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辛未洋擾 때 가장 治熱한 激戰地였다. 이 戰鬪에서 朝鮮軍은 劣勢한 武器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名을 除外하고는 全員이 殉國하였으며 門의 樓閣과 城 위에 낮게 쌓은 담이 破壞되었다. 1976년 다시 復元하였으며, 廣城堡 境內에는 辛未洋擾 때 殉國한 魚在淵 將軍의 雙忠碑와 辛味殉義塚 및 戰績地를 修理하고 세운 江華戰績地, 修理한 것을 記錄한 碑石 등이 建立되었다.
이튿날 美軍이 北上하여 德津鎭을 陷落시키고, 이어서 廣城堡로 쳐들어왔다. 美國 極東 艦隊는 9인치 포와 8인치 포 등 약 80문(門)의 艦砲로 志願射擊을 하였으며, 廣城堡를 지키던 중군장(中軍將) 어재연(魚在淵)을 위시하여 그의 兒憂 어재순(魚在淳)·군관 이현학(李玄學)·어영초관(御營硝官) 유풍로(柳豊魯)·천총(千摠) 김현경(金)·광성별장(廣城別將) 박치성(朴致誠) 이하 49인의 將士와 200여명의 軍事가 戰死하고, 20여명이 負傷하였다.
신미양요
(辛未洋擾)
朝鮮과 美國은 1855(鐵宗 6), 1865(高宗 2), 1866년에 美國 배가 各各 朝鮮의 東海岸 通川, 寧日沿海, 宣川郡에 漂流함으로써 3차례의 接觸이 있었는데, 이때마다 朝鮮은 美國의 배를 靑나라로 護送하는 등 親切을 베풀었다. 그러나 1866년 7월 平壤境內의 大同江에 들어와 通商을 要求하던 美國 上船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운 事件이 일어났다. 美國은 이 事件을 계기로 武力에 의한 强制通商을 計劃하고, 淸國政府에 事件의 調査를 依賴했다.
쌍충비
(雙忠碑)
신미양요(辛未洋擾)때廣城鎭 砲隊에서 朝鮮軍과 美軍海兵隊가 싸운 事件 殉國한 어 재 연 將軍의 雙忠碑를 復元하여 建立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