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立中央博物館/高麗翡色靑磁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고려청자
(天下第一翡色靑磁)
國立中央博物館은 2005년 龍山博物館 開館이래 多樣한 主材의 企劃特別展을 通해 우리 傳統文化와 觀覽客 간의 시공(時空)을 뛰어넘는 疏通을 摸索해 왔읍니다. 이번 展示 역시 이와같은 努力의 一環으로 ★天下第一翡色靑磁★라는 主材로 색 (色) 형 (形) 문양 (文樣)이 어우러져 빚어진 高麗靑瓷의 工藝的인 아름다움을 感想하고 그 속에 內在된 "創造"의 意味를 다시한번 照明하고자 企劃 하였읍니다. (國立中央博物館)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국보 제68호
高麗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나라 梅甁에서 由來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서는 高麗만의 豊滿하면서도 有緣한 線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러한 高麗 梅甁의 樣式은 이 作品에서 洗煉味의 極致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의 크기의 梅甁의 아가리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아가리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鶴을 새겨 넣었는데, 黑白象嵌한 원 안에는 하늘을 向해 날아가는 鶴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向해 내려가는 鶴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鶴의 進行方向을 다르게 表現한 것은 陶瓷器 表面이라는 一定한 制約을 넘어 四方으로 空間을 擴散시켜 짜여진 區劃으로부터의 自由로움을 追求한 듯하다. 이같은 表現上의 變化 追求와 함께 文樣處理의 能熟함에서 高麗 陶瓷器의 優秀함과 高麗人의 創意力을 엿볼 수 있다. 高麗 13세기 澗松美術館 소장
1部 : 高麗靑磁의始作과展開
高麗靑瓷의 始作과 展開에서는 初期 靑瓷부터 絶頂期를 이루었던 中期靑瓷를 거쳐 後期靑瓷까지 高麗靑瓷의 全般的인 흐름을 紹介 합니다. 初期靑瓷는 中國 오대십국 (五代十國)907 ~ 979 시대에 월요 (越窯)와 家馬築造方式 製作樣相등 매우 有事하여 靑瓷製作技術이 10세기경에 中國에서 流入되었음을 알수있다. 10세기에 만들어진 靑瓷는 올리브그린색을 띠며 主力生産 機種은 茶를 마실때 使用하는 碗이었다. 11世紀에는 靑瓷 生産地가 擴大되면서 全羅南道 康津을 中心으로 加麻가 運營되었으며 이때부터 高麗靑瓷의 色이 서서히 맑은 翡翠色을 띠게된다.
탑지석
(塔誌石)
高麗 1009년 靈岩 腥風寺址 出土 靈岩度器 博物館 所藏
사리합
(舍利盒)
1986년 塔의 補修工事 때 發見되었다. 1층 塔身 舍利공에서 나와 당시初期靑瓷가 舍利具로 比較的 이른시기부터 使用되었음을 알수있는 資料다. 11世紀初 高麗靑瓷의 兩象을 보여주는 作品이다.
인물무늬주자
(貼花人物畵文注子)
中國 唐 8 ~ 9세기 入手
글자가있는완
(墨書文盌)
表面에 먹으로 언(言) 정(貞) 다(茶) 영(營)세 글자와구름무늬 꽃무늬를 一日程한 間隔으로 그려놓은 완이다 精選된 態度로 만들어졌으며 찻그릇으로 推定된다.
완
(盌)
1923년 公州市 出土
백자꽃모양접시
(花形蝶匙)
高麗 10세기 ~ 11세기 1980년 發見
백자꽃모양접시
(白磁花形蝶匙)
高麗 10세기 ~ 11세기 1993년
꽃모양접시
(花形蝶匙)
高麗 10세기 ~ 11세기 1993년
도철무늬향로
(靑磁陽刻陶鐵畵文香爐)
高麗 12세기 1908년 購入 高麗靑瓷 香爐에는 動植物 形象을 한것도 있지만 이처럼 中國의 靑銅器인 방정을 充實히 模倣한것도 많다. 몸체에 陽刻된 倒綴은 中國 靑銅器에서 影響을 받은것이다.
용무늬꽃모양접시
(靑磁陰刻龍花形畵文蝶匙)
高麗 12세기 1910년 購入
연꽃무늬병
(陰刻蓮花畵文甁)
굽 안바닥 한부분에 효문(孝文)이라는 글자가 陰刻되었다. 네즈美術館所藏 淨甁에도 효구각 (孝久刻)등이 세겨져 있는데 장인의 이름으로 推定된다. 扶安 유천리가마터에서 이 와같은 名文 陶瓷片이 出土되어 유천리 가마에서 만들어진것으로 생각된다.
도철무늬향로
(靑磁陽刻陶鐵畵文香爐)
안쪽면에는 意味를 알수없는 글귀와 넘실거리는 퍄도와 배를타고가는 人物의 모습이 새겨져있다. 이같은 그림은 高麗前期에 예제를 整備항때 中國의 송 (宋)으로부터 流入된 선화박고도 (宣和博古圖)와 같은 禮書와 禮記의 影響을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병
(靑磁廣口甁)
高麗 12세기 1909년 購入
받침대
(靑磁方形臺)
高麗 12세기 1916년 入手
세
(洗)
高麗 12세기 1920년 購入
국화모란무늬정병
(象嵌菊花牡丹畵文淨甁)
高麗 12세기 後半~13세기 1908년購入
참외모양정병
(靑磁瓜形淨甁)
高麗 12세기 1915년 購入
넝쿨무늬장고
(靑磁鐵畵篇唐草畵文長鼓)
高麗 12세기 1914년 購入
모란넝쿨무늬항아리
(靑磁鐵畵牡丹唐草畵文壺)
高麗 12세기 오사카 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나비무늬항아리
(靑磁鐵畵螺畵文壺)
高麗 12세기 오사카 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여의두연꽃잎무늬병
(靑磁陽刻堆花如意頭蓮瓣畵文甁)
高麗 12세기 1909년 購入
연꽃넝쿨무늬항아리
(靑磁象嵌蓮花唐草畵文壺)
高麗 12세기 1909년 購入
풀꽃무늬주자와승반
(靑磁象嵌壇花草花畵文注子承盤)
高麗 12세기 1930년 購入
국화대나무무늬매병
(靑磁象嵌菊花竹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4년 購入
매화모란무늬항아리
(靑磁象嵌梅花牡丹畵文壺)
高麗 12 ~ 13세기 1978년 購入
모란무늬항아리
(靑磁象嵌牡丹畵文壺)
高麗 13세기 오사카 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가사"가새겨진꽃무늬대접
(己巳銘靑磁象嵌蓮花畵文大接)
高麗 14세기 入手
경오가새겨진물가풍경대접
기사가새겨진구름학무늬대접 기사가새겨진꽃무늬대접
기사가새겨진물가풍경무늬대접
정릉이새겨진연꽃넝쿨무늬대접
(正陵銘靑磁象嵌蓮花唐草畵文大接)
高麗 14세기 1977년 購入
보원고가새겨진연꽃버드나무무늬매병
(寶源庫銘靑磁象嵌蓮柳畵文梅甁)
高麗14세기 1912년 購入 보원고(寶源庫)는 1309 ~ 朝鮮初까지 存續하여 貴重品을 保管하던 官舍이다. 1309년 恭愍王이 魯國大長公主 公主의 冥福을 빌기위해 儀禮를 行하면서 設置하였다, 恭愍王死後 이곳에서 祭祀를 지냈으며 國家 王室과 關聯된 行事를 進行하기도 하였다.
양온이새겨진연꽃버드나무무늬편병
(良溫銘靑磁象嵌蓮柳畵文編甁)
양온서(良溫署)는 高麗時代 王室의 술과 감주를 擔當했던 官廳 이름이다. 14세기 中央 官廳用 靑瓷의 兩相을 確認할수 있는데 以前 時期에 비해 紋樣과 奇型 색등에서 靑瓷品質이 매우 안좋은 狀況을 볼수있다.
을유사온서가새겨진버드나무무늬매병
(靑磁乙酉司瑥署銘靑磁象嵌柳蘆畵文梅甁)
입술부분이 깨진 梅甁이다. 어깨에는 뾰족한 蓮板文이 몸통에는 버드나무가 象嵌되었다. 버드나무 무늬 사이로 "을유사온서" (乙酉司瑥署)라는 明文이 黑象嵌 되었는데 司瑥署는 高麗와 朝鮮時代에 술을 빚어 共給하던 일을 擔當했던 官廳名 이다. 몸통에 새겨진 官廳 이름으로 보아 술을 담았던 梅甁으로 생각된다. 忠宣王 復位年 (1308)때 이루어진 開片에서 良醞署가 司瑥署로 變更된後 여러번 反復을 거듭하다가 恭愍王 21년 (1372)에 司瑥署로 確定되었다. 全盛期 靑瓷에 비해 峴底하게 떨어진 14세기 靑瓷의 品質을 確認할수있다.
물가풍경무늬자판
(靑磁象嵌滿柳水菖畵文磁板)
高麗 12세기 오사카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연 봉
(靑磁蓮峯)
高麗 12 ~ 13세기 1965년 購入
모란무늬자판
(靑磁象嵌銅彩牡丹畵文板)
高麗 12 ~ 13세기 1911년 購入 正確한 用度를 알수없는 粧飾用 板으로 全體的인 무늬가 매우 華櫚하다. 四角板은 크게둘로 나누어 무늬를 粧飾했다. 中央에는 모란꽃을 浮刻시켜 붉은색의 구리性分 顔料를 部分的으로 칠했다
매화대나무새무늬자판
(靑磁象嵌梅鳥竹畵文板)
高麗 12 ~ 13세기 1911년 購入
모란무늬자판
(靑磁象嵌牡丹畵文磁板)
高麗 12 ~ 13세기 오사카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전라북도진안군수천리무덤출토품
高麗 12 ~ 13세기
강원도삼척시삼화동무덤출토품
高麗 12세기 1976년 發見
청백자봉황머리모양병
(靑白磁鳳首形甁)
中國宋 12세기 1926년 購入 文公裕 墓 出土
국화넝쿨무늬완
(靑磁象嵌菊花草畵文盌)
高麗 12세기 1926년 購入 京畿道 凱風에 있는 文公裕의 무덤에서 地石과 함께 나온것으로 알려진다. 文公裕는 高麗時代 文臣으로 글에 능했으며 睿宗,仁宗,毅宗,세명의 王을 섬겼다. 맑고 投命한 靑瓷유에 華櫚한 易象嵌이 돋보이는 秀作이다. 象嵌靑瓷 發生에 관한 편년 設定에 있어서 지금까지 이 盌이 基準이 되고 있다.
받침대
(靑磁方形臺)
高麗 12세기 1916년 購入 仁宗 莊陵 出土
참외모양병
(靑磁瓜形甁)
高麗 17대 임금인 仁宗의 莊陵에서 나왔다고 傳해지는것으로 이 甁 이외에 玉으로 만든 施策과 靑瓷받침대 聽者盞과 뚜껑靑瓷 盒 등이 함께傳한다, 맑고 透明한 翡翠色의 釉藥은 오늘날 高麗靑瓷중 비색의 大名辭로 알려져있다.
잔
(靑磁有盞)
高麗 12세기 1916년 購入 仁宗 莊陵 出土
합
(盒)
高麗 12세기 1916년 購入 仁宗 莊陵 出土
모란구름학무늬베개
(靑磁象嵌牡丹雲鶴畵文枕)
高麗 12 ~ 13세기 1908년 購入
연꽃넝쿨무늬베개
(靑磁邊刻蓮花唐草畵文枕)
高麗 12세기 1912년 購入
용장식향로
(靑磁龍盞香爐)
어룡장식향로
(靑磁魚龍盞香爐)
高麗 12세기 1914년 購入
고리무늬의자
(靑磁透刻座臺)
高麗 12 ~ 13세기 1946년 入手 高麗 12세기 1915년 購入
바둑알
高麗 1914년 購入
연꽃무늬변기
(靑磁陰刻蓮花畵文便器)
高麗 12세기 1916년 入手
유병.합.항아리
(油甁,盒,壺)
高麗 12세기 13世紀
상약국이새겨진구름용무늬함
(尙藥局誌靑磁刻雲龍畵文盒)
高麗 12世紀 尙藥局은 王室 診療를 擔當하는 官廳으로 穆宗代 忠宣王 까지 存在하였다. 뚜껑의 偏平한 上面에는 龍과 구름이 가득 陰刻되었으며 뚜껑과 몸체가 만나는 部分에는 각각 尙藥局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굽 안바닥 한 편에 치우쳐 승 (昇)이라는 글자도 確認 된다.
소,말무늬반
(靑磁陰刻牛馬畵文盤)
高麗 12세기 오사카市立東洋陶瓷美術館 所藏
은제모란넝쿨무늬거울거리
(銀製金銀入絲牡丹唐草文鏡架銅製雙龍畵文鏡)
高麗 1909년 購入
거북등무늬화장상자
(靑磁象嵌透刻龜甲畵文箱子)
高麗 12세기 1941년 入手 靑瓷로 만들어진 婦人用 化粧 箱子다. 1841년 全羅南道 長興에서 靑銅制 四角形 거울과 함께 發見되었다. 같은 時代에 螺鈿漆器 化粧 箱子도 알려져 있어 다른 才質로 만들어진 類似한 形態의 工藝品이 多數 存在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모란넝쿨무늬화장상자
(靑磁遊刻牡丹唐草畵文化粧箱子)
高麗 12세기 도쿄國立博物館所藏
모란무늬모자합
(靑磁象嵌牡丹畵文母子盒)
高麗 1913년 購入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高麗 12세기 ~ 13세기 1912년 購入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高麗 12세기 ~ 13세기 1912년 購入
청자연꽃넝쿨무늬매병
(靑磁陰刻蓮花唐草畵文梅甁)
國寶97호
국화무늬매병 구름학무늬매병
(靑磁象嵌菊花畵文梅甁) (靑磁象嵌雲鶴畵文梅甁)
高麗 12 ~ 13세기 1910년 購入
잎무늬매병
(靑磁三葉畵文梅甁)
寶物340호
高麗 12세기 1916년 購入 鐵材 靑瓷는 靑瓷 胎土로 만든 그릇 全面에 鐵確 顔料를 바르고 靑瓷油를 是油한 것으로 마치 축유를 입힌 黑子처럼 보인다. 이 같은 鐵製 象嵌은 매우 드문예에 속하는데 그 중 뛰어난 作品이다. 鐵絲 顔料로 全體를 칠 한후 무늬 부분을 긁어내고 그 部分에 붓으로 白土를 발랐다. 이러한 方法은 科程이 複雜할 뿐만 아니라 多樣한 材料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여러 條件들이 充足 되어야만 完成할수 있는 어려운 製作 方法이다.
구름학무늬매병
(靑磁鐵畵彩堆花雲鶴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3년 購入
연꽃넝쿨무늬매병
(靑磁鐵畵蓮花唐草畵文梅甁)
高麗12세기 1909년 購入
국화넝쿨무늬매병
(靑磁鐵畵菊花唐草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1년 購入
국화무늬타호
(靑磁象嵌菊花畵文唾壺)
高麗 12세기 1915년 購入
三盃詩가새겨진년쿨무늬발
(三盃詩靑磁象嵌唐草畵文鉢)
高麗 12세기 1912년 購入
三盃詩
何達方二盃 天許方四盃 赤足盒笑盃
三盃皆己得 方四笑盃
술 석잔을 마시며 짓는시
하늘이 許諾하거든 넉잔째 술을 마실수도 있네
석잔의 술은모두 다마셨지 어떻게 마셨는가?
두잔째 술은역시 웃음띠고 넉넉히마셨지
넉잔째 술을 웃으며 마신다.
국화무늬조롱박모양병
(靑磁象嵌菊花畵文形甁)
高麗 13세기 1908년 購入
조롱박모양주자 참외모양주자
(靑磁篇形小注子) (靑磁瓜形小注子)
高麗 12세기 1014년 購入 高麗12세기 1911년 購入
참외모양주자 모란넝쿨주자 모란넝쿨주자
연꽃넝쿨무늬주자
(靑磁陰刻蓮花唐草畵文注子)
高麗 12세기 도쿄國立博物館所藏
모란넝쿨무늬주자와받침
(靑磁陰刻牡丹唐草畵文注子.承盤)
高麗 12세기 읻데미츠美術館所藏
모란넝쿨무늬호
(靑磁明宗智陵出土品)
高麗 12세기 1908년 購入 名鐘 (1170 ~ 1197) 은 高麗 제 19대 임금이며 陵號는 地陵 이다. 現在 開城市 長風郡 地陵里에 位置한다.
1.구름용무늬 숟가락 4.모란넝쿨무늬타호
2.모란넝쿨무늬완 5.국화나비무늬접시
3.모란무늬꽃모양잔 6.물가풍경무늬완 7.꽃무늬 대접
2部 : 高麗를보는 窓 靑磁
靑瓷 高麗를 보는 窓은 靑瓷의 工藝的 速成에 점을 맞추어 主題別로 그 쓰임새를 살펴 보고자 하였읍니다. 高麗靑瓷는 日常生活에서 使用하던 工藝品이었기에 그것을 使用하는 사람들의 生活方式이 고스란히 反映되어있다.
시가새겨진연꽃넝쿨무늬병
(靑磁詩刻蓮花畵甁)
高麗 12세기 1911년 購入
細錢金花碧玉甁 豪家應薺喜提甁
沆和賀老承淸寶 抱向春梁醉鏡湖
푸르고 아름다운 甁에 금꽃을 아로새겼으니 호시로운 집안에서 이 甁을 사랑했을 것이다.옛날 하지장(賀知章)이 氣分 좋을적에 늦은 봄강호에서 이 甁을 안고 심히 취 했으리라.
조롱박모양병
高麗 12세기 야마토文化館 所藏
모란넝쿨무늬벼루
(靑磁象嵌牡丹畵文'辛丑'銘硯)
이 벼루의 바닥 안쪽면에는★ 辛丑五月十日造 爲大口前戶正徐取(?)夫 ★라는 名文이 白象嵌 되었다. 그 옆으로는 陰刻技法으로★ 淸沙硯壹隻黃何寺★ 가 쓰여있다. 名文의 內容은 1181년으로 推定되는 해에 대구소 호정(戶正)이라는 職責을 지닌 사람을 위해 만들었다는 것으로 解釋 된다.
원숭이모양항아리 원숭이모양도장 원숭이모양장신
高麗 12세기 1908년購入 高麗12세기 1914년購入 高麗12세기 1909년購入
연꽃넝쿨무늬붓꽂이
(靑磁遊刻蓮花唐草畵文筆架)
高麗 12세기 1909년 購入
백자매병 매병
(白磁梅甁) (靑磁梅甁)
高麗12세기 1912년 購入 高麗12세기 1910년 購入
연꽃넝쿨무늬매병
(靑磁陰刻蓮花唐草畵文梅甁)
당당한 어깨의 유려한 허리谷線이 高麗靑瓷 梅甁의 아름다움을 느끼기에 充分 하다. 入口는 작고 氣品 있게 마무리되어 있으며 부드럽고 豊富한 양감이 느껴지는 安定感을 주는 谷線의 美學은 中國 北宋 梅甁의 緊張된 線과 전혀 다른 高麗 特有의 曲線美를 잘보여준다.
국화무늬매병
(靑磁蓮花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3년 購入
모란무늬매병
(靑磁牡丹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6년 入手
모란넝쿨무늬매병
(靑磁牡丹唐草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08년 購入
모란넝쿨무늬매병
(靑磁花畵文梅甁)
高麗 12세기 1912년 購入
연꽃넝쿨무늬정병
(靑磁陰刻蓮花唐草畵文淨甁)
高麗 12세기 네즈美術館所藏 本來 淨甁은 깨끗한 물을 담아 供養시에 使用하는 불교용구다. (宣和奉使高麗圖經)에는 淨甁이 불가(佛家)에서 뿐만아니라 一般 民家에서도 使用되었다고 記錄하고 있어 여러 用途로 活用 된것을 알수있다. 굽안바닥에는 효구각(孝久刻)이라는 名文이 새겨져 있는데 紋樣을 彫刻한 사람의 이름으로 推定하고 있다.
청동정병
(靑銅淨甁)
高麗 12세기 1906년 購入
연꽃넝쿨봉황무늬대접 청동사리합
(靑磁象嵌蓮花唐草鳳凰畵大接) (靑銅舍利盒)
高麗14세기 1965년 發見 慶尙南道 密陽市 靈源寺址 出土
새꽃무늬매병
(靑磁象嵌鳥花畵文梅甁)
高麗 14세기 1965년 發見
글씨가새겨진발
(靑磁象嵌名文鉢)
高麗 12 ~ 13세기 1981년 이홍근 寄贈 발의 外面 中央에 癸丑年造上 大聖持鉢 이 黑象嵌되었다. 大聖은 文宗의 아들이자 天台宗의 始祖인 義天을 가리키거나 元曉,義湘과 關係된 名稱으로 生角된다.
선무늬발
(靑磁象嵌線畵文鉢)
高麗 14세기 1910년 入手 江原道 原州市 永川寺址 出土
연꽃넝쿨동자무늬합
(靑磁象嵌蓮花唐草童子畵文盒)
보물제 325호
高麗 12 ~ 13세기 1959년 松林寺 寄贈 慶尙北道 漆谷郡 松林寺 五層石塔 出土 1959년 송림사 (松林寺)의 五層石搭을 解體 修理할때 相輪部의 복발 아래층인 五層 屋蓋石 위에 있었다. 당시 이 盒 안에는 香木과 佛經의 殘編으로 推定되는 殘編들이 들어있었다고 한다. 象嵌된 紋樣은 연꽃과 연잎 모자를 쓴 童子가 함께 어우러진 것으로 매우 독특한 豫에 束한다.
합
(盒)
高麗 12 世紀 1933년 購入 고려오사카市立東洋陶瓷美術館所藏
탑사리합 탑지석사리구
(舍利盒)(搭誌石)(舍利具)
高麗12세기 1974년 發見 京畿道安城 長鳴寺址 石塔出土
(地)가새겨진접시
高麗 13世紀候班1967년 購入
사람오양주자
(靑磁人形注子)
道敎의 祭禮를 主觀하는 導師처럼 보이는 人物이 머리에는 높은 寶冠을 쓰고 두 손으로 仙道를 받쳐든 모습으로 각 部分의 特定的인 모습을 잘 表現 하였다. 寶冠 뒤에 注子의 뚜껑이 位置하고 복숭아가 담긴 廣州里를 出水口로 만들었다.
기린장식향로
(靑磁麒麟蓋香爐)
高麗 12세기 1911년 購入
나한상
(靑磁鐵彩堆花點文羅漢坐像)
高麗 12世紀 高麗는 佛敎를 國敎로 삼았기 때문에 佛敎와 關聯된 여러 用具와 敬拜의 對象을 靑瓷로 만들기도 하였다.
풍경인물무늬편병
(靑磁瓦居人物畵文扁壺)
高麗 13세기 1916년 購入
高麗가 中國 元나라의 政治的 干涉을 받게 되면서 高麗靑瓷의 製作도 元나라 陶瓷器의 影響을 받았다. 이 항아리처럼 12세기 靑瓷가 보여주던 餘白의 아름다움은 줄어들고 여러가지 所在를 한면에 複雜하게 構成하는 傾向을 볼수 있다.
소나무인물학무늬매병
(靑磁松下人物畵文梅甁)(靑磁象嵌松下彈琴畵文梅甁)
高麗 12 ~ 13세기 1908년 購入
물가풍경무늬정병
(靑磁象嵌柳水畵文淨甁)
國寶 제66호
이 作品은 基形과 紋樣이 國寶 92호 (靑磁象嵌柳水畵文淨甁)이나 寶物 344호 (柳水畵文淨甁)과 매우 類似하여 才質은 다르지만 같은 形態의 그릇이 주고받은 常好 影響關係를 잘살펴볼수 있다. 靑瓷의 象嵌技法과 金屬工藝品의 銀入絲技法은 表面을 파내고 그 안에 다른 才質의 物質이 嵌入하여 粧飾하는 俗性이 같다. 靑瓷에서 陽刻 紋樣은 精巧하게 彫刻된것이 비해 象嵌 紋樣이 單純하지만 靑瓷胎土와 培土의 對比로 인해 粧飾效果가 두드러지느 것을 確認 할수있다.
청동물가풍경무늬정병
(靑銅銀入絲柳水畵文淨甁)
高麗 12세기 116년 入手 淨甁은 맑은 물을 담아두는 甁으로 本來 僧侶가 지녀할 열여덟가지 物件중 하나였으나 점차 佛殿에 바치는 깨끗한 무을 담는 그릇으로 使用되었다. 이 淨甁의 아름다운 紋樣은 이사 (入絲)技法으로 表現되었는데 入射技法이란 그릇 表面에 흠을내고 그안에 은선 (銀線)을 박아 넣는 것이다
물가풍경무늬정병
(靑磁柳水畵文淨甁)
보물 제344호
高麗 12 世紀 1911년 購入 앞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그 밑에서 시고 있는 기러기 한쌍을 뒷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쉬고 있는 鴛鴦 한쌍이 陽刻되어 있다. 같은 機種에 類似한 紋樣이 여러技法으로 粧飾된것은 工藝品 紋樣 圖案을 主觀했던 畵業의 存在로 인해 생겨난 結果物로 생각된다.